X

경주 국립공원 산사태 피해복구에 범부처 총출동

박진환 기자I 2024.06.27 11:12:18

행안부·환경부·국가유산청·산림청 등 협업체계 구축
인허가 등 행정처리기간 최소화…현장조사 지속 실시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정부가 범부처간 협업을 통해 경주 국립공원에 발생한 산사태 피해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경주 국립공원의 식생네트 설치 현황. (사진=산림청 제공)
산사태 대응 관계기관인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유산청, 산림청, 경북도, 경주시, 국립공원공단은 협업체계를 구축, 지난 5월 15~17일 합동조사를 실시해 산사태 발생 위치와 피해규모를 파악하고 응급 복구 계획을 수립했다. 우선 정부는 산사태 발생지역의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생네트를 깔아 추가침식을 막고 탐방객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통제난간을 설치했다. 현재 석굴암 뒤쪽에서 발생한 피해지에는 토석류 방지망을 설치 중이며 하류 구간에 설치된 사방댐은 물이 잘 흐르도록 보수를 했다.

여름철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대피장소 지정, 비상연락망 구축, 마을 담당공무원 지정, 비상방송용 스피커 보급, 대피훈련과 산사태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등 주민대피체계를 재정비 했다. 산사태 복구와 예방을 위해 돌과 흙을 막아주는 사방댐 10개소와 산지 비탈면에서 돌과 흙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산지사방 등을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시행한다. 또 비가 내릴 때 강우량 관측 사각지대의 정밀 관측을 위해 자동기상관측시설을 설치하고, 경주시에 제공해 주민대피 등을 결정하는 상황판단 자료로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각 관계기관에서는 복구사업이 신속히 이행될 수 있도록 부처협업으로 인·허가 등 행정처리기간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될 경우 주 1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 및 드론과 인공위성 자료 등을 활용한 모니터링으로 산사태 위험여부를 선제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경주 국립공원은 토함산 지구 외 국립공원 구역에도 산사태 위험 요소가 있는지 현장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산사태 피해지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국민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범부처가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특히 다중이용시설 및 주민 생활권 주변에서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점검과 피해예방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