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역인재 키우는 ‘협약형 특성화고’ 10곳 선정

신하영 기자I 2024.05.20 12:00:00

용산철도고·인천반도체고 등…5년간 최대 45억씩 지원
철도·방산·반도체·이차전지 등 지역 전략산업 연계교육
교육과정 자율성 보장…지역인재 교육·취업·정주 지원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서울 용산철도고 등 10개 고교가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됐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방자치단체·교육청·기업이 협력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고등학교다.

2024년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선정 결과(사진=교육부)
교육부는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교육부가 선정한 학교는 용산철도고·인천반도체고·정석항공고·충남기계공고·강원생명과학고·천안여자상업고·한국치즈과학고·포항흥해공업고·경남해양과학고·한림공업고 등 10곳이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취업·정주로 이어지는 ‘지역 완결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지자체·교육청·기업이 협력해 연합체를 구성하고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토록 하겠다는 것. 앞서 교육부가 지난달 초 마감한 공모에는 15개 지역 37개 연합체(컨소시엄)가 참여했다. 교육부는 산업·지역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를 통해 이 가운데 9개 지역 10개 고교를 선정했다.

교육부는 “선정된 고교는 지역의 전략 산업과 연계된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편, 졸업생의 지역 취업·정주율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예컨대 경북 포항흥해고는 졸업 후 인근 포스코퓨처엠·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 2차 전지 기업에 취업이 가능한 3+2+2 연계 과정을 도입한다. 고교과정 3년을 이수하고 취업한 뒤 지역 전문대학(2년)과 일반대학(2년)에서 연계과정을 마치는 ‘선취업 후진학’ 과정을 운영하겠다는 얘기다.

교육부는 “기업과 지역 내 유관기관(대학·연구소 등)은 산학융합 중심의 교육과정 학교와 공동으로 개편·운영하게 된다”며 “기업은 현장실습과 채용을, 대학은 심화·연계 교육과정을 담당하는 등 역할 분담도 체계적으로 제시됐다”고 설명했다.

관할 시도교육청은 교육과정 자율 학교 지정과 교사 충원, 산학겸임교사 투입 등으로 이들 학교를 지원한다. 지자체는 취업·정주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특히 교육부는 이들 학교에 5년간 최대 45억원씩을 지원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한다.

교육부는 올해 10개교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협약형 특성화고를 총 35곳 육성할 계획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역이 함께 디자인하는 학교 모델인 협약형 특성화고 도입을 통해 지역 내 산학이 융합되는 계기가 마련되길 희망한다”며 “취업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내에서 후학습을 통해 성장·정주하는 협약형 특성화고 모델이 성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