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연희·증산 빗물펌프장 위 ‘청년 컴팩트시티’...2022년 입주

박민 기자I 2019.08.22 11:00:00

역세권·수변공간 이점 살려
청년 라이프스타일 반영 설계
총 500명 입주 규모 공공주택
내년 말에 착공해 2022년 하반기 입주

[이데일리 박민 기자] 서울시가 서대문구 연희동 교통섬 위에 새로 짓는 빗물펌프장과 은평구 증산빗물펌프장 상부를 활용해 청년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혁신적인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시는 청년 500명이 입주할 수 있는 ‘연희·증산 혁신 공공주택’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을 공개하고, 2022년 하반기 입주를 목표로 내년 말에 본격 착공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사업 대상지는 서대문구 연희동 일대 교통섬 유휴부지 4689㎡와 은평구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앞 증산빗물펌프장 상부를 포함한 부지 6912㎡ 등 2곳이다. 이들 대상지는 역세권에 위치해 청년들의 직주근접 컴팩트시티를 실현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임에도 불구하고 도로로 둘러싸여 주변과 단절되고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지 못했던 곳들이다.

시는 두 곳 모두 홍제천·불광천과 인접한 수변공간으로서 자연경관을 확보할 수 있는 잠재력을 살려 ‘자전거 도로’를 신설하거나 수변공간으로의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날 시가 공개한 설계 공모 당선작에는 연희지구는 조민석 건축가(㈜건축사사무소 매스스터디스)가, 증산지구는 이진오 건축가(㈜건축사사무소 SAA, 스키아,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바람부는연구소)가 각각 선정됐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일대 교통섬 유휴부지 4689㎡를 활용해 짓는 ‘청년 공공주택’ 설계 공모 당선작.(사진=서울시 제공)
당선작에 따르면 ‘교통섬 위 공공주택’으로 재탄생할 연희지구는 청년 유동인구가 많은 경의선숲길과 가좌역(경의중앙선), 홍제천을 연결하는 보행 거점에 위치한 특성을 살려 청년활동시설과 생활SOC가 결합된 청년주택을 지을 계획이다. 이곳에는 빗물펌프장도 신설하고, 연면적 9264㎡, 지상 7층 규모로 200인 내외의 가변형 청년주택이 들어선다. 청년창업지원센터, 도서관, 청년식당, 마켓, 옥상텃밭, 운동시설 등도 입체적으로 배치한다.

특히 신설하는 빗물펌프장을 인공지반으로 활용해 주거와 어우러지면서도 홍제천을 조망할 수 있는 다양한 레벨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건물 앞에 위치한 내부순환도로 소음에 대비해 주거공간은 후면에 배치하고, 전면부에는 실내정원, 피트니스센터 같은 공공시설을 배치한다”고 설명했다.

은평구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앞 증산빗물펌프장 상부 일대 6912㎡를 활용해 짓는 청년 공공주택’ 설계 공모 당선작.(사진=서울시 제공)
지하철 3개 노선(6호선·공항철도·경의중앙선)이 지나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 인접한 증산빗물펌프장에는 수도권 통근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청년주택을 조성할 계획이다.

기존 빗물펌프장 상부에 데크를 설치해 새로운 지층을 만들어 연면적 1만349㎡, 지상 13층 규모의 복합시설을 짓는다. 1인 주택(100호)과 공유주택(65호)가 결합해 청년 총 300여 명이 입주 가능하다. 공유오피스, 코인빨래방, 공유키친, 공공피트니스, 농수산물 마켓 같은 생활SOC(3047㎡)도 조성한다.

또 선큰을 통해 DMC역으로, 보행데크를 통해 불광천 수변공간으로 각각 접근할 수 있도록 보행 네트워크도 구축, 기존에 도로로 단절됐던 지역을 잇는 효과도 얻을 계획이다.다만 빗물펌프장 위에 짓는 주택이라는 점에서 소음, 진동, 악취 등의 우려가 나온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실시설계 단계에서 전문가 참여·자문을 통해 다양한 공법을 통한 저감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이달 말 설계에 착수해 연내 지구계획 수립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와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내년에 공공주택 통합심의 및 지구계획 및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2020년 하반기 착공, 2022년 하반기 입주를 목표로 한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총 사업비는 연희지구는 빗물펌프장 신설을 비롯해 주택과 편의시설 등 총 500억원 안팎, 증산지구는 300억원 안팎으로 추산하고 있다”며 “공사비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땅값의 경우 시유지가 연희지구는 93%, 증산은 100%에 달해 토지가격이 ‘0’(제로)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 시장은 “서울시는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까지 공공주택 공급을 늘려 OECD 평균보다 높은 10% 이상으로 높여나간다는 목표”라며 “저이용 도시공간을 효율적으로 재창조하기 위해 최고의 건축가를 선정해 청년주택과 지역사회에 꼭 필요한 생활SOC를 함께 조성하고, 지역의 활력을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