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평균 출·퇴근 시간 72.6분…수도권 가장 오래 걸려

이지은 기자I 2023.12.21 12:00:00

통계청·SKT '가명결합 활용 근로자 이동행태 분석'
퇴근, 출근보다 3.2분 더 걸려…통근거리 18.4㎞
여성 비중, 30세 미만 '최대'…근무지 체류 9.3시간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이 72.6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83.2분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더 오래 걸렸다. 통근자들의 평균 출·퇴근 이동거리는 18.4㎞로, 마찬가지로 수도권에서 20.4㎞로 가장 길었다.

20일 오전 서울 경복궁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눈길을 걷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은 21일 발표한 ‘가명결합 활용 근로자 이동행태 분석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는 SK텔레콤 통신데이터와 통계청 통계등록부 정보를 가명결합해 약 712만명의 근로자 대상으로 이동행태를 집계·분석한 실험적 통계다.

통근자의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은 올해 6월 기준 72.6분으로, 퇴근(37.9분)이 출근(34.7분)보다 3.2분 더 걸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서는 평균 83.2분 소요돼 타 지역에 비해 가장 오래 걸렸고, 강원권은 52.1분으로 가장 짧았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75.5분으로 가장 길었고, 50대(71.2분)와 60대(69.1분)로 갈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남성의 통근 소요시간은 75.6분으로 여성(67.9분)보다 7.7분 더 소요됐다.

통근자들의 평균 출·퇴근 이동거리는 18.4㎞였다. 수도권에서는 20.4㎞로 평균 통근거리가 가장 길었고, 강원권은 최단인 15.5㎞였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의 통근거리가 19.5㎞로 가장 길었고, 20대 이하가 16.5㎞로 가장 짧았다. 남성(20.9㎞)은 여성(6.3㎞)에 비해 통근거리가 길었다.

여성 통근 근로자 비중은 39%로 대부분 연령대에서 남성의 3분의 2 수준이지만, 30세 미만은 49.4%로 유독 컸다. 20~30대 젋은 통근자 비율은 수도권(31.1%)에서, 60대 이상 통근자 비율은 강원권(25%)에서 가장 높았다.

남성은 오전 7시 이전, 여성은 오전 8시대 출근이 각각 31.6%, 26%로 가장 많았다. 나이가 들수록 7시 이전에 출근하고 5시 이전에 퇴근하는 비중은 커졌다. 30세 미만의 경우 늦게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오전 7시 이전 출근자는 동남권(26.5%), 오전 10시 이후 출근자는 제주(23.5%)에서 비중이 가장 컸다.

근무지에서 체류하는 시간은 평균 9.3시간으로, 30~50대가 9.5시간으로 가장 길고 60대가 8.7시간으로 제일 짧았다. 지역별로는 충청권(9,5시간)이 최장 시간이고 제주(9.1시간)가 최단 시간이었다. 남성(9.6시간)은 여성보다 약 50분 오래 체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근로자 이동행태 실헙적통계 작성결과. (자료=통계청)
1인가구의 경우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은 70.4분으로 다인가구(73분)에 비해 적게 들었다. 평균 통근 거리도 17.3㎞로 다인가구(18.6㎞)보다 짧았다. 연령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통근 소요시간, 통근거리 차이는 젊을수록 커졌다. 통계청은 “젊을수록 독립 시 직장 가까운 곳을 주거지로 선호함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1인가구 통근자의 근무지 체류시간은 평균 9.4시간으로 다인가구에 비해 약 6분 많았다. 여성으로만 보면 1인가구 통근자는 9시간 체류해 다인가구 통근자보다 약 10분 오래 머물렀다. 대부분의 연령에서 1인가구 통근자가 다인가구에 비해 근무지에 오래 있었으나, 50대는 다인가구 통근자가 더 긴 시간 머물렀다.

거주지에서 동일지역으로 통근하는 사람의 비율은 세종이 56.8%로 최소였다. 이어 인천(68.7%), 경기도(74.7%), 서울(81.4%) 등이 뒤따랐다. 수도권의 주요 근무지역은 △서울 강남구(6.5%) △경기 화성(4.6%) △경기 성남(4.1%) △서울 중구(3.7%) △서울 서초구(3.6%) 순이며, 상위 5개 시군구가 전체의 22.6%를 차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