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수도권 노후우체국, ‘우체국+공공임대’ 재탄생

김미영 기자I 2020.09.14 11:00:00

국토부·우정사업본부·LH 업무협약 체결
복합개발로 3년 내 공공임대 1000호 공급
퇴계로5가우체국 등 3곳 시범사업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수도권의 낡은 우체국 건물들이 공공임대아파트를 품은 복합건물로 새단장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5일 우정사업본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수도권 내 노후우체국 복합개발을 통해 교통요지에 공공임대주택 1000호를 공급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는다고 14일 밝혔다. 노후우체국은 우체국과 행복주택 등이 결합된 복합건물로 재건축된다.

이번 협약에 따라 △서울 중구 장충동2가의 퇴계로5가우체국(75호) △도봉구 쌍문2동의 쌍문2동우체국(56호) △관악구 행운동의 행운동우체국(42호) 등 3곳이 시범사업으로 우선 추진된다. 협약에선 노후우체국 복합개발이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내년까지 후속 개발 후보지를 발굴하고 기관 간 역할분담하도록 등도 정했다.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3곳(173호)은 내년초 사업승인, 2022년 착공해 2023년 상반기에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먼저 퇴계로5가우체국은 300m 거리에 동국대학교 등 인근에 다수의 대학이 위치하고 있어 근거리 통학을 원하는 대학생 수요가 예상된다. 쌍문2동우체국은 주변에 대형 마트, 병원, 공원 등 생활편의 시설이 밀집돼 있어 주거여건이 좋은 편이다. 행운동우체국의 경우 서울대입구역(지하철2호선)에서 3분거리에 위치한 역세권으로 대학생은 물론, 교통여건이 우수해 직장인 등에게도 적합하다.

우체국은 통상 도심내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시범사업지 등 복합개발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경우 젊은 계층의 주거안정을 높일 것이란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아울러 우체국 이용자에겐 새로운 청사에서 쾌적한 우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개 기관은 시범사업 외에 후속 복합개발 후보지에 대해서도 2022년까지 사업 승인을 완료하기 위해 내년까지 복합개발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김흥진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노후우체국 복합개발은 기관 간 협업을 통해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젊은 층에게 만족도 높은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모범사례”라며 “성공적인 협력형 사업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