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버지 시신·어머니 편지로 전하는 전쟁의 참상[알쓸공소]

장병호 기자I 2024.06.21 13:00:00

레바논 출신 캐나다 작가 와즈디 무아와드
'전쟁 4부작' 첫 작품 '연안지대' 국내 초연
세대 건너 이어지는 전쟁의 참상 그려내
'그을린 사랑' '숲' 등도 국내 무대 올라

‘알쓸공소’는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연 소식’의 줄임말입니다. 공연과 관련해 여러분이 그동안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고 있는, 혹은 재밌는 소식과 정보를 전달합니다. <편집자 주>
서울시극단이 국내 초연으로 선보인 극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첫 번째 작품 ‘연안지대’의 한 장면. (사진=세종문화회관)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서울시극단 연극 ‘연안지대’를 봤습니다. 레바논 출신 캐나다 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중 첫 번째 작품으로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국내 초연으로 막을 올렸습니다.

작품은 주인공 윌프리드가 여자와 뜨거운 밤을 보내던 중 아버지 이스마일의 사망 소식을 들으면서 시작합니다. 윌프리드는 아버지의 시신을 먼저 세상을 떠난 어머니 곁에 묻어주려고 하지만, 외가 친척들의 반대에 부딪힙니다. 고민 끝에 윌프리드는 아버지의 시신을 고향에 묻기로 하고, 시신을 고이 안은 채 머나먼 여정을 떠납니다. 그 여정 속에서 부모가 겪어야 했던 전쟁의 비극과 마주하게 됩니다.

무명의 와즈디 무아와드 유럽에 알린 ‘연안지대’

서울시극단이 국내 초연으로 선보인 극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첫 번째 작품 ‘연안지대’의 한 장면. (사진=세종문화회관)
지난해 국립극단 연극 ‘이 불안한 집’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연출가 김정이 연출을 맡았습니다. 김정 연출의 작품은 한마디로 독특합니다. 부모를 살해한 소년의 이야기를 환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풀어낸 ‘손님들’, 바이러스로 둘로 나뉜 인류의 이야기를 그려낸 ‘태양’ 등이 대표적인데요. 이번 ‘연안지대’에서도 김정 연출의 이러한 독창적인 연출력이 빛납니다.

초반부는 무척 경쾌(?)합니다. 윌프리드는 첫 등장과 동시에 “따르릉여보세요와보세요아버지가 돌아가셨어요”라며 랩 같은 대사를 쏟아냅니다. 이스마일의 시신을 둘러싸고 친척들 반대에 부딪히는 장면에선 마치 현대무용처럼 흥겨운 춤판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윌프리드가 아버지의 고향을 찾으면서부터 작품의 분위기는 점점 정적으로 변해갑니다. 윌프리드는 아버지의 고향에서 만나는 시몬, 아메, 사베, 마시, 조제핀을 만나 이들이 겪은 전쟁의 참상을 알게 됩니다. 세대가 달라져도 사라지지 않는 전쟁의 상처가 관객의 마음까지 아프게 만듭니다.

무대 연출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특히 조명의 활용이 눈에 띄었습니다. 투명한 천과 조명으로 만들어내는 일렁이는 물결, 그 가운데에서 윌프리드가 이스마일의 시선을 떠나보내는 장면은 숙연하기까지 합니다. 아름다우면서도 무척 슬픈 2시간이었습니다.

‘연안지대’는 와즈디 무아와드를 유럽에 본격적으로 소개한 작품입니다. 프로그램북에 실린 번역가 임재일 경기대 교수의 글에 따르면 ‘연안지대’는 1998년 리무쟁 프랑코포니 연극제를 통해 처음 소개됐고, 이듬해 아비뇽 연극제에 진출했습니다. 아비뇽 연극제는 작가와 연출가의 경력을 중시하는 축제라고 하는데요. 당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와즈디 무아와드의 작품을 아비뇽 연극제가 소개한 건 그만큼 프랑스 연극계가 그를 주목했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반전(反轉)으로 반전(反戰) 전한 ‘그을린 사랑’

2021년 LG아트센터 기획공연으로 신유청 연출과 함께 선보였던 와즈디 무아와드 ‘전쟁 4부작’ 두 번째 작품 연극 ‘그을린 사랑’의 한 장면(사진=LG아트센터)
공연을 본 뒤 와즈디 무아와드의 또 다른 대표작 ‘그을린 사랑’(원제 ‘화염’)이 자연스럽게 떠올랐습니다.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중 두 번째 작품으로 영화 ‘듄’ 시리즈의 드니 빌뇌브 감독이 2010년 발표한 동명 영화로도 유명합니다. 국내에도 영화로 먼저 소개됐고, 이후 연극으로 제작해 여러 차례 무대에 올랐습니다. 가장 최근 공연은 2021년 LG아트센터가 신유청 연출과 함께 선보였던 공연입니다. 당시 공연 시간 3시간 45분의 대작으로 화제가 됐는데요. 긴 공연 시간에도 전혀 지루함 없는 무대였습니다.

영화 개봉 당시 충격적인 반전(反轉) 스토리로 화제가 됐는데요. 사실 이 작품의 진짜 메시지는 반전 스토리 속에 담은 반전(反戰) 메시지에 있습니다. ‘연안지대’가 아버지의 시신을 들고 긴 여정을 떠나는 아들의 이야기라면, ‘그을린 사랑’은 죽은 어머니가 남긴 편지를 통해 어머니의 진실을 알아가는 쌍둥이 남매의 이야기입니다. 영화에서도 충격적인 반전이지만, 연극에선 무대 위 배우들의 생생한 연기로 더 강렬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와즈디 무아와드가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유는 그가 직접 전쟁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레바논 출신인 그는 레바논 내전으로 열 살이 되던 해 고국을 떠나 프랑스 파리로 망명했고, 영주권 문제로 캐나다 퀘벡으로 떠나야 했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 4부작’을 썼습니다.

레바논 내전은 중동 지역의 다른 전쟁과 마찬가지로 종교 갈등으로 인한 전쟁인데요. 와즈디 무아와드는 자신의 작품에서 벌어지는 전쟁의 배경을 레바논이라고 명시하지 않습니다. 종교적 신념을 떠나, 그리고 누가 옳은지 그른지를 떠나서 전쟁이 어떻게 평범한 이들의 삶을 망가뜨리는지, 그 고통은 어떻게 계속 이어지는지를 이야기합니다. 지금도 어디선가 전쟁이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떠올리면, 와즈디 무아와드가 고발하는 전쟁의 참상은 보편적이기에 힘이 있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술은 아름다움 조명하며 인간의 존재 증언”

서울시극단이 국내 초연으로 선보인 극작가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첫 번째 작품 ‘연안지대’의 한 장면. (사진=세종문화회관)
와즈디 무아와드의 또 다른 ‘전쟁 4부작’이 궁금해집니다. 세 번째 작품 ‘숲’은 극단 산수유가 지난해 10월 국내 초연으로 선보였습니다. ‘숲’은 10대 주인공 루가 엄마의 뇌에서 발견한 뼛조각을 통해 8대에 걸친 가족사의 비밀을 풀어가는 작품입니다. 프랑스와 독일 제국의 보불 전쟁부터 1·2차 세계대전까지 인류의 역사 속 비극과 폭력, 증오를 성찰하는 작품이라고 합니다. 와즈디 무아와드의 ‘전쟁 4부작’ 마지막 작품인 ‘하늘’은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와즈디 무아와드에 대한 소개 글에는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와즈지 무아와드는 ‘연안지대’, ‘화염’, ‘숲’, ‘하늘’ 등 20편 이상의 연극과 ‘되찾은 얼굴’, ‘아니마’ 같은 소설을 통해 ‘예술은 다양한 아름다움을 조명하며 인간의 존재를 증언한다’고 말했습니다.” ‘연안지대’는 전쟁의 비극 속에서 인간성을 어떻게 지킬 것인지를 생각해볼 기회입니다. 공연은 오는 30일까지 이어집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