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물로 지정

이정현 기자I 2019.03.28 09:47:10
보물 제2021호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사진=문화재청)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21호로 지정예고한다고 문화재청이 28일 밝혔다.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이하 동 삼층석탑)은 성주사지에 남아 있는 4기의 탑 가운데 하나다. 847년 낭혜화상(800~888, 신라 후기의 승려 무염)이 지은 성주사는 17세기까지 명맥이 이어지다가 조선 후기에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보령 성주사지(사적 제307호)에는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 제8호)와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제19호),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보물 제20호, 이하 중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보물 제47호, 이하 서 삼층석탑) 등 1기의 탑비와 3기의 석탑이 이미 국보와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및 관리 중이다.

동 삼층석탑은 금당 뒤쪽에 있는 다른 2기의 석탑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국내에는 가람이 이렇게 배치된 예가 없다. 금당 전면에 오층석탑 1기를 조성하여 1탑 1금당 형식의 가람배치를 조성한 이후 석탑 3기를 다른 곳에서 옮겨와 뒤쪽에 추가로 배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금당 뒤쪽의 3기의 석탑 중 서·중앙 석탑 2기는 1963년에 보물로 지정된 바 있다.

동 삼층석탑은 조성 양식으로 보아 다른 2기의 삼층석탑과 함께 통일신라 말기에 같은 장인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총 높이는 4.1m로 2층 기단 위에 3개의 층으로 구성되었으며, 기단 상부에 괴임대 형식의 별석받침을, 1층 탑신 전·후면에 문고리와 자물쇠가 표현된 문비(문짝 모양)가 조각된 점 등으로 볼 때 전형적인 통일신라 후기 석탑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이미 보물로 지정된 2기의 탑 못지않게 균형 잡힌 비례와 체감, 우수한 조형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지정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은 동 삼층석탑 외에 전남 구례군에 있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인 ‘천은사 극락보전’을 ‘구례 천은사 극락보전’이란 이름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