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DI, 올해 성장률 전망 1.5% 유지…물가 상승률은 0.1%p↑

이지은 기자I 2023.08.10 12:03:31

KDI, '2023년 8월 경제전망 수정' 발표
0.3%p 내린 5월 전망과 동일…소비↓·건설투자↑
"중국 경기부진 심화 시 1%대 초반 하락 가능성"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유지했다. 상반기에 경기 저점을 형성한 뒤 하반기 완만히 회복할 것이라는 기존 경로에 변함이 없다는 판단이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을 반영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4%에서 3.5%로 상향 조정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KDI는 10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1.5%로 예상했다. 지난 5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작년 11월 올해 성장률을 1.8%로 제시했던 KDI는 올 5월에는 1.5%로 0.3%포인트 낮췄다. 주력 상품인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감소해 상반기 내내 경기 부진이 이어진 것이 배경이 됐다.

이번에 KDI가 성장률 전망치를 유지한 것은 한국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판단에서다. 민간소비는 해외여행의 회복 속도가 완만한 수준에 그친 점을 반영해 2.5% 증가할 것으로 봤다. 기존 전망치보다 0.5%포인트 낮은 것이다.

반면 건설투자 증가율(1.3%)은 부동산 파이낸싱프로젝트(PF) 시장 불안 등의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반영해 기존 전망치(0.4%)를 상회할 것으로 봤다. 설비투자는 1.1%로 직전 전망치와 동일했다.

총수출은 상품 수출의 증가폭은 확대되지만 서비스수출의 회복 지연으로 기존 전망치(1.4%)와 동일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와 본원소득수지의 상반기 실적치가 높게 나타난 점을 반영해 164억달러 흑자에서 313억 달러 흑자로 상향 조정했다.

천소라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상품수출은 상반기에 자동차를 중심으로 실적치가 기존 전망을 상회했고, 하반기에는 중국경제 하방 요인과 미국 경제 상방요인이 유사한 정도로 예상된다“고 ”서비스수출은 중국인 관광객 유입의 회복이 지연돼 기존 전망을 하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기관과 비교하면 정부(1.4%),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 등보다는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 등과는 같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수치로만 보면 1.4~1.5%에 많이 몰려있고, 0.1%포인트 차이여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본다”면서 “지난 5월 1.8%에서 1.5%로 낮춘 뒤, 중국의 경기 회복 지연을 우려했지만 미국이 충분히 상쇄하고 있어 추가 수정할 요인이 많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4%에서 3.5%로 0.1%포인트 올려잡았다. 예상했던 것보다 전기요금 인상 폭이 작아졌지만,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올해 두바이유의 도입 단가도 배럴당 평균 76달러에서 81달러로 올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3.5%로 유지했다. KDI는 중국의 경기 부진 심화, 글로벌 물가 상승폭 확대 등을 향후 우리 경제의 하방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대내적으로는 세입여건 악화 등으로 재정지출이 계획된 수준을 하회할 경우 국내 수요가 제약될 것으로 봤다.

정 실장은 “하반기 중국 경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살아나지 못하거나 현재 중국 정부가 쓰고 있는 경기 부양책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우리나라의 성장세도 예상치를 하회할 수 있다”며 “하방 위험 요인이 불거지면 올해 성장률이 1%대 초반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