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엔·백악관도, '中제로코로나' 반대 시위 진압 비판 목소리

신정은 기자I 2022.11.29 11:41:12

유엔 "中인권법 따라야"…절제된 대응 촉구
미국·영국·독일 등도 우려표해…"자유 존중해야"

[이데일리 신정은 기자]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유엔이 중국 당국에 ‘절제된 대응’을 촉구했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서방국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면서 이번 시위가 국제적인 이슈로 확대되는 조짐이다.

지난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우루무치 화재 희생자 추도식에서 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에서 백지를 들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제공)
28일(현지시간) 미 폴리티코에 따르면 제러미 로런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누구도 자신의 의견을 평화적으로 표현했다는 이유로 구금되어서는 안 된다”며 “우리는 중국 정부가 국제인권법에 따라 시위에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해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토론을 허용하면 공공정책을 더 잘 이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에 대응하는 과정은 투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엔이 이같은 우려를 표한 것은 중국 수도 베이징과 상하이 등 주요도시에서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확산하자 중국 당국이 공권력을 투입해 강제해산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위는 지난 24일 봉쇄된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우루무치 아파트에서 화재로 10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난 것이 도화선이 됐다. 27일에는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등에서 검열과 통제에 저항한다는 의미의 ‘백지시위’도 등장했다. 지난 2020년 홍콩에서 발생한 국가보안법 반대 시위의 한 장면이다.

특히 시위 현장을 취재하던 BBC 기자가 경찰에 끌려가 폭행을 당하고 구금됐다가 몇 시간 만에 석방되는 일이 보도되면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서방국도 연이어 우려를 표하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이날 “모든 사람들은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평화적으로 시위할 권리가 있다”며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전략으로 코로나19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아시시 자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조정관 역시 제로 코로나 전략은 비현실적이라는 입장을 표했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가진 외교정책 관련 연설에서 BBC 기자의 폭행사건을 언급하며 “중국이 우리의 가치와 이익에 ‘체계적인 도전’을 제기하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이 도전은 중국의 권위주의가 강화하면서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제임스 클레벌리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중국인들이 현재 중국의 상황이나 정부의 규제에 매우 불만을 갖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서 “중국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는 드물며, 이런 일이 일어나면 세상이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중국 정부가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DW와 인터뷰에서 “중국 당국이 시위자의 자유를 존중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만의 영자지 타이완뉴스에 따르면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톈안먼 사태) 주역인 왕단(王丹)은 중국 공산당 정권이 엄격한 코로나 봉쇄 정책을 완화하는 대신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를 유혈 진압하면 공산당 체제가 붕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