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6년 만에 교복 부활한 프랑스…"차별 없애"vs "복종의무" 논쟁

채나연 기자I 2024.02.29 11:22:55

프랑스, 시범운영 후 확대 검토
"교복은 사회적 불평등을 줄인다"
"권위에 대한 맹목적 복종 의무"
학부모들 사이에서 의견 분분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프랑스의 일부 학교에서 26일(현지시간)부터 시범적으로 교복 착용을 시작했다. 1968년 학생들이 주도한 혁명 이후 사라졌던 공립 학교의 교복이 56년 만에 부활하며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26일(현지시간) 교복 착용을 시범 도입 프랑스 남부 베지에시의 한 초등학교.(사진=AFP 연합뉴스)
지난 26일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프랑스 남부 베지에 시의 학교 4곳은 교복 시범 운영 정책에 따라 학생 700여 명은 이날부터 교복을 입고 등교했다.

교복 착용은 최근 총리 자리에 오른 가브리엘 아탈 총리가 지난해 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할 때 도입하려던 정책이다.

프랑스에서 교복은 1802년 나폴레옹에 의해 처음 도입돼 남자 기숙 학생이 교복을 입은 것을 제외하고는 1968년 혁명 이후 폐지되어 공립 학교에서 교복이 의무화된 적이 없었다.

그러다 지난해 브리지트 마크롱 프랑스 영부인, 가브리엘 아탈 총리(당시 교육부 장관) 등이 불평등 완화, 학습 환경 조성 등을 이유로 교복 착용을 찬성하며 현실화됐다.

로베르 메나르 베지에시장은 한 시범 학교에서 “우리는 10년 전부터 이 실험을 요구해왔다”며 “교복은 사회적 차이를 없애고 공화국의 학교를 보호하며 복장 문제로 인한 차별과 괴롭힘을 없앨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결정에 프랑스 학부모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복 착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학부모 일부는 교복이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고 옷이나 외관에 대해 빈부격차를 상대적으로 덜 드러나게 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반대표를 던진 학부모는 교복을 입어도 신발, 가방 등 다른 품목에서 불평등이 드러나 교복 착용이 단순히 권위에 대한 맹목적인 복종의무라며 교복이 아닌 교육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시범 운영 예정이 있던 마르세유 지역의 한 학교는 학생 66% 이상이 반대표를 던져 철회하기도 했다.

프랑스 정부는 일단 베지에 시의 학교 4곳과 추가 시범 학교로 선정된 87곳에서 향후 2년간 교복을 착용해보고 2026년 전국 모든 공립 학교로 확대할지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