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열대야로 잠 못이루는 당신을 위한 유용한 방법

이순용 기자I 2017.08.04 11:11:47

열대야, 코골이에 대처하는 현명한 대처법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무더위가 한창이다. 밤까지 지속되는 열대야는 수면을 방해한다. 쉽사리 잠에 들지 못하거나 뜬 눈으로 밤을 지새다보니 규칙적인 생활 리듬이 깨진다. 결국, 낮 시간에 무기력을 호소하며 피곤함에 지친 하루를 보낸다.

열대야로 인한 수면장애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다음 3가지 방법을 실천해 보는 것이 수면에 도움 될 수 있다.

① 잠들기 1~2시간 전의 가벼운 샤워는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단, 체온상승을 유발하는 찬물이 아닌, 미지근한 물로 씻어야 한다.

② 잠들기 2~3시간 이내의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숙면을 방해할 수 있으니, 걷기나 맨손체조 등 가벼운 운동으로 땀을 낸다.

③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커피, 홍차 등과 담배는 각성효과가 있어 수면을 방해하니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음주는 수면을 유도하지만, 수면 도중 잠이 깨는 경우가 있어 지나친 과음을 주의한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황경진 교수는 “다양한 수면 극복법이 있지만, 무엇보다 규칙적인 아침 기상을 통해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며 “잠이 오지 않으면 긴장을 풀고 즐거운 느낌을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코골이는 습관이 아닌 질환

열대야로 인한 수면장애는 일시적 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날씨가 서늘해지면 자연스럽게 해결된다. 이와 달리, 진단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증상이 있는데, 바로 코골이다. 코골이는 주로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흔히 나타나며, 성인의 유병률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코골이의 90% 이상이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한다.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성완 교수는 “특히, 유소아 시기의 코골이는 성장 및 뇌발달 저해, 학습부진, 과잉행동주의력결핍장애(ADHD)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모의 적극적인 치료 의지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강조했다.

수면 무호흡으로 인한 저산소증은 뇌졸중,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및 돌연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시키는 등 삶의 질을 넘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김성완 교수는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약 5% 정도의 환자만이 진단과 치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대부분 코골이는 질병이 아닌 나쁜 습관의 일종으로 가볍게 여기는 것이 원인이다”고 밝혔다.

◇치과장치 착용, 코골이 낮춰주는 효과 있어

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이연희 교수는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환자의 경우, 치료에 있어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수면과 관련된 ▲병력확인 ▲방사선학적 평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자는 동안의 호흡, 맥박, 혈중 산소 포화도, 뇌파 등의 측정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인지·행동 요법과 구강 내 장치를 이용한 비수술적 치료 등 증상에 적합한 치료가 이뤄진다.

경희대치과병원에 따르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의 경우에는 아래턱을 전방으로 위치시켜주는 하악전방위치장치 착용으로 약 74% 정도의 증상 개선을 보인바 있다.

이연희 교수는 “하악전방위치장치는 환자의 수면과 낮 시간의 졸림, 피로감 등의 개선을 유도한다”며 “다만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종류와 증상 심도에 따라 치료 효과가 상이해 반드시 구강내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