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시대적 흐름`된 기업들의 준법·윤리 경영

양희동 기자I 2020.04.05 17:12:10

삼성·롯데·한화·태광·KT 등 준법 조직 신설
최근 2~3년 새 높아진 '국민 눈높이' 반영
기업 가치 훼손하는 사법리스크 선제적 차단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경영권 승계 △노동 △시민사회 소통 등 세 가지 의제 대해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의 공개 사과 및 개선방안 마련을 권고하는 등 기업들의 준법·윤리경영이 시대적 흐름이 되고 있다. 삼성을 비롯해 롯데그룹과 한화(000880)그룹, KT(030200), 태광그룹(003240) 등 총수 일가나 최고경영진 등이 사법리스크를 겪은 대기업집단들은 최근 2~3년 간 준법감시를 위한 기구들을 속속 출범시키고 있다.

이들 기업 중 롯데그룹은 3년 전인 2017년 4월 민형기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위원장으로 한 ‘롯데컴플라이언스위원회’(롯데컴플)를 가장 먼저 출범시켰다. 롯데컴플은 신동빈 회장 직속 기관으로 민 위원장과 각각 3명씩 내·외부위원으로 구성됐고 지원팀 규모는 140여 명이다. 신 회장의 구속으로 총수 부재 상황을 맞기도 했던 롯데그룹은 롯데케미칼(011170)의 미국 공장 투자 등 글로벌 사업 확대로 인해 반부패 규정 준수 및 기업의 투명성, 임직원의 윤리의식 강화 필요성 등으로 롯데컴플의 역할과 활동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한화그룹은 2018년 7월, 이홍훈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한 사외 독립기구인 ‘한화컴플라이언스위원회’(한화컴플)를 발족해 준법·윤리경영 강화에 나섰다. 김승현 한화그룹 회장은 설립 초기부터 그룹 콘트롤타워인 경영기획실을 폐지하며 한화컴플에 힘을 실어줬다. 한화컴플은 이 위원장 등 5명의 위원 중 절반이 넘는 3명을 외부인사로 채워 독립성과 객관성을 보장했고, 지원팀은 전담자와 겸직자를 포함해 110여 명 규모로 구성됐다. 한화컴플은 출범 이후 △법규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 및 배포 △하도급 가이드라인 배포 및 실무자 교육 △영업비밀 보호 관련 규정 배포 등 준법 교육과 법 위반 실태 확인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태광그룹도 한화에 이어 같은해 12월 그릇된 관행을 바로 잡고 새 기업문화를 구축하려는 취지에서 ‘정도경영위원회’(정도경영위)를 출범시켰다. 임수빈 전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가 첫 위원장을 맡은 정도경영위는 상설기구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가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도경영위는 지난 1년여간 5차례 정기회의와 태광가족 생활방식 사례집 발간, 온라인 소통창구 ‘태평소’ 개설, 정도경영 워크숍, 사회공헌활동 등을 진행해 왔다.

KT도 구현모 대표 선임 이후 법조계 인사를 연이어 영입하며 준법·정도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준법 경영 전담 조직인 컴플라이언스위원회와 법무실 등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김희관 전 법무연수원장(김희관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과 안상돈 전 서울북부지검 검사장(법무법인 클라스 대표변호사)을 각각 최고준법감시자(CCO)와 법무실장으로 영입했다.

KT는 민영화 이후에도 외부에서 영입한 이석채·황창규 전 회장 등 CEO들이 검찰 조사를 받는 등 외풍에 시달려왔다. 이에 내부 출신인 구 대표 체제에선 준법 경영을 강화해 사법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KT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관련 회계조사 등을 앞둔 선제 조치란 분석도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기업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와 사회적 기대가 높아진 만큼 준법·윤리 경영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