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특징주]한중엔시에스, 수냉 ESS 냉각시스템 삼성 독점 공급...상장 첫날 '강세'

김다운 기자I 2024.06.24 11:33:13
[이데일리TV IR팀]
오늘(24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한중엔시에스(107640)의 주가가 상장 첫날 강세다. 한중엔시에스는 국내 유일하게 ‘수냉식 ESS 냉각시스템’ 양산에 성공한 업체다. 수냉식 냉각 방식은 글로벌 ESS 시장이 태동기를 지나 본격 성장기로 접어들면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 분야로 전망된다.

24일 오전 11시 19분 현재 한중엔시에스는 공모가(3만원) 대비 59.83% 오른 4만7950원에 거래중이다.

한중엔시에스는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상장해 이날 거래를 시작했다.

앞서 한중엔시에스는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공모밴드 상단인 3만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이후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결과 1000.8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1995년에 설립된 한중엔시에스는 ESS 부품 및 전기자동차(EV) 부품 등을 개발하고 양산하는 전문기업이다. ESS냉각시스템을 사실상 삼성SDI에 독점적으로 납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SS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대형 배터리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차세대 공략 대상으로 꼽고 있는 시장이다.

지난 19일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도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들이 ESS를 주요 테마로 선정하고 관련 라인업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삼성SDI가 처음 선보인 ‘삼성 배터리 박스(SBB) 1.5’엔 한중엔시에스 제품이 다수 탑재돼 있다. ‘SBB 1.5’는 현존하는 ESS 배터리 중 최고 용량(5.26MWh)을 구현한 제품이다. 아울러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채택했다.

해당 제품에서 수냉식 냉각에 관련된 부품은 모두 한중엔시에스의 제품이다. △ESS배터리모듈 부품을 비롯해 △HVAC △Chiller △Cooling plate 등이 모두 포햄돼 있다. ESS 배터리 제품 하나 당 배터리와 케이스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한중엔시에스가 공급하는 구조다.

아직까지 국내에선 수냉식 냉각 관련 기술을 상용화시킨 다른 업체가 없어 이 같은 독점 체제는 향후 2~3년 이상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독점 공급 체제는 수년전부터 이어 온 양측 기술 개발 협력의 결과다. 기술 연구와 실증 실험, 인증 단계에서부터 양사가 함께했다.

한중엔시에스는 2018년 삼성SDI 양산 업체로 등록됐고 2022년에 SSP 파트너로 선정됐다. 지난해 8월부턴 수냉식 시스템이 적용된 삼성배터리박스(SBB) 전용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E5S 모듈’ 초도 물량을 삼성SDI에 납품하기 시작했다. 후속으로 개발한 ‘E5S-P‘는 ‘SBB 1.5’의 상용화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세대 모델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