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바이오로직스 “코로나19 백신, 3상서 1차지표 충족”

나은경 기자I 2024.06.14 13:07:38
[이데일리 나은경 기자] 유바이오로직스(206650)는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EuCorVac-19)의 임상 3상에서 대조군 대비 면역원성에서 우월성과 혈정전환율에서 비열등성을 보이며 1차 지표를 충족시켰다고 14일 공시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임상 3상에서 만 18세 이상 필리핀 성인 약 2600명을 대상으로 유코백-19(2004명)와 대조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비실드’(Covishield)(596명)를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한 후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분석했다. 1차종결점은 2회 접종후 14일차에 중화항체 역가(GMT)에서 코비실드 대비 유코백-19의 우월성과 중화항체 혈청전환율(SRR)을 통한 유코백-19의 비열등성으로 설정했다. 혈청전환율은 백신 접종 전·후 중화항체 역가가 4배 이상인 경우로 정의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항원 단백질 특이적 항체의 GMT를 분석한 결과 유코백-19 투여군에서 GMT 변화비율이 2.41로 대조군 대비 우월성을 확인했다(p<0.0001). GMT 변화비율은 유코백-19의 GMT를 코비실드의 GMT로 나눠 계산했다.

유코백-19와 코비실드 투여군간 항원 단백질 특이적 항체의 중화항체 혈청전환율(SRR) 차이는 31.4%로 비열등성을 확인했다(p<0.0001).

엔데믹(전염병의 풍토병화)이 됐으므로 회사는 유코백-19를 향후 혼합백신으로 개발할 전망이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유코백-19를 통해 자체개발 재조합 백신 플랫폼을 검증했으므로, 향후 감염병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백신개발을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코백-19는 자체 확보 항원과 면역증강 플랫폼 기술‘EuIMT’와 출자회사인 미국 팝바이오텍의 항원디스플레이기술 ‘SNAP’을 융합한 재조합 백신 후보물질이다.

한편 전날 회사는 유코백-19의 국내 임상 3상 계획은 자진취하했다. 이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국내 허가 백신으로 기초 접종을 받은 사람에게 유코백-19로 추가 접종하여 비교하는 임상 1/2상을 신청했지만 임상 승인 시점에서 국내에 이미 변이주 추가 접종이 개시됐고, 이에 따라 국내 임상 지원자 확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