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도교육청, 학교현장 행정지원으로 '새 학년 준비' 집중

황영민 기자I 2024.02.14 10:50:07

개학 전 한주간 '새 학년 준비 기간' 운영
교육활동 준비 전념하도록 공문 및 출장 자제
공문없는 날과 달 폐지로 업무 신속성 확보
공문게시제 등으로 불필요한 행정업무 경감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공문 제도 개편, 새학년 준비 기간 운영 등을 통해 2024년 새 학년을 맞이하는 일선 학교에 행정 지원을 추진한다.

14일 김승호 경기도교육청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은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교육활동 중심 새 학년 준비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13일 경기도교육청에서 김승호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이 ‘교육활동 중심 새 학년 준비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황영민 기자
이번 계획의 골자는 △새 학년 준비 기간 운영 △학교 교육활동 내실화를 위한 교육과정 및 행정 지원 △공문없는 날(달) 정책 개편 △공문서 기반의 효율적 교육행정시스템 구축 등이다.

개학 전 ‘새 학년 준비 기간’, 교육활동 전념하도록 행정 지원

먼저 경기도교육청은 개학을 앞둔 시점인 오는 19일부터 23일까지 한 주간을 ‘새 학년 준비 기간’으로 지정, 학교의 안정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한다.

학교는 교직원 일정 및 학교 상황 등을 고려해 준비 기간 내에 자율적으로 세부 일정 수립이 가능하며, 새 학년 준비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과 편성을 안정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25개 교육지원청은 해당 기간에 학교가 교육활동 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문 발송 및 출장 자제에 협조한다. 이와 함께 교원 인사 발표와 역량 강화 연수, 학교 교육과정 반영에 필요한 각종 정책과 사업을 학교가 적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안내한다.

이와 함께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월 현장 의견을 수렴해 ‘수요일 공문 없는 날’ 폐지, 3월 한달간 운영됐던 ‘공문 없는 달’을 ‘공문 없는 주간’(3월 1일∼3월 20일)으로 개선해 추진하겠다고 안내했다.

공문 없는 날의 경우 수요일을 전후로 한 화요일과 목요일에 공문 쏠림 현상이 발생해 실질적인 현장 업무경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공문 없는 달 또한 마찬가지로 3월 교육청과 지원청 시행 공문을 4월에 학교로 발송하면서 4월에 이른바 ‘업무 폭탄’ 쏟아지는 부작용과 학년 초 운영계획 수립 시 알아야 할 내용을 제때 안내 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은 학교 자율성 확보와 교육활동 전념 문화 조성을 위해 두 제도를 축소·폐지함으로써 학교가 특정 요일 제한 없이 자율적으로 협의하고 연구하는 문화를 조성하도록 했다.

공문게시제와 외부공문 관리기능으로 학교 행정업무 경감

다음으로 공문서 기반의 효율적 교육행정시스템 구축으로 학교 업무를 지원한다.

공문서 감축을 위한 공문게시제 중점 추진과 K-에듀파인 외부공문 관리기능을 적용해 단순 안내나 홍보성 공문은 학교에 자동 게시토록 했다. 이에 따라 학교는 연간 2~3000여 건의 공문 접수(처리)가 줄어들 것으로 보여 학교의 행정업무 경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학교 자체 생산문서 감축 등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해 학교에 위임전결규정 예시(안)을 보급하고, 공문서 대시보드 서비스를 개통해 학교별 공문서 생산현황 분석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김승호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은 “모든 업무개선의 중심은 학교가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학교를 어렵게 하는 규정이나 규제, 제도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학교 교육활동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 학교업무개선담당관은 지난해 모니터링 결과로 발굴한 학교업무 개선과제 이력을 중점 관리해 올해 도교육청 각 부서와 함께 학교업무 개선을 위한 과제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 내용은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 학교업무 효율화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