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북한에 분유 100톤·원료의약품 지원…“교류협력 확대”

이종일 기자I 2021.02.25 09:56:41

코로나19 등 남북 공동방역체계 구축
2030년까지 남북기금 260억원 확보
"지자체 주도의 남북교류협력 필요"

박남춘 인천시장이 1월27일 옹진군 신도선착장에서 열린 영종~신도 평화도로 건설 착공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인천시 제공)
[인천=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인천시는 올해 북한 취약계층 영유아의 영양 개선을 위해 분유 100톤과 원료의약품 지원 등 인도적 협력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 북한 제약공장에 영유아·산모용 항생제·비타민을 생산할 수 있는 원료의약품을 전달했다. 올해는 원료의약품에 분유를 추가해 지원하고 코로나19, 말라리아, 아프리카돼지열병 등의 남북 보건·환경 대응력 개선을 위해 공동방역체계를 구축한다.

시는 한강하구와 서해5도를 북한과 접하고 있는 인천에서 남북관계의 진전, 평화 정착을 위한 교류협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보고 있다. 국제사회 대북제재와 코로나19로 북한의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됨에 따라 남북협력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남북교류협력이 필요하다고 시는 판단했다.

시는 2010년 5·24 조치 이전 가장 많은 대북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던 인천·남포 항구를 포함한 기존 남북 해상항로의 복원사업을 비롯해 정전협정상 중립지역인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 방안, 남북공동어로구역 예정지에 대한 해양생태 어족자원 조사를 올해 정부에 제안할 방침이다.

민족 동질성 회복과 사회·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해 ‘동북아 여자축구대회’, ‘고려역사 강화·개성 남북학술대회’ 등 2016년 이후 중단된 다양한 사회·문화 교류사업도 추진한다.

시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 내년까지 남북교류협력기금 100억을 조성하고 2023년부터 매년 20억원을 추가 적립해 2030년까지 260억원 규모로 늘릴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남북교류와 통일 기반사업을 진행한다.

시 관계자는 “인천은 지리적 특성상 서해평화협력시대를 이끌 중심 도시로 단순 대북사업 실행에 치우치지 않고 무게 중심을 평화의제로 옮길 계획이다”며 “정부 차원의 남북관계 변화에만 의존하지 않고 인천시가 할 수 있는 평화의제 등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민선 7기 들어 평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남북교류협력담당관실을 신설하며 평화정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에 2019년 서해5도 어장 확대와 55년 만의 야간조업 허용, 해안철책 철거 등을 이뤘고 남북평화도로의 첫 디딤돌인 영종도~신도 연륙교 사업을 착공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