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치원 학급당 30명인데 보건교사 0명"…방역 우려에 불안한 등원길

오희나 기자I 2021.06.29 11:38:53

전국 유치원 8705개에 보건교사 110명…정교사 27명
학급당 유아수 5세 최대 28~30명 '과밀학급'
"유아 감염병·유행성 질병 취약…보건인력 늘려야"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2학기 유·초·중·고가 전면 등교하는 가운데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유치원은 학급당 유아수가 30명에 달하는 곳도 있지만 보건교사는 한 명도 없는 곳이 많아 방역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

광주 서구 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서 돌봄교실 교사가 원아 체온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유치원수는 8705개로 원아수는 61만2538명이지만 올해 유치원에 배치된 보건교사는 110명이다. 올해 교육부는 처음으로 보건교사 27명을 배치했고 각 시도교육청에서 공립 단설유치원을 중심으로 기간제 보건 교사 83명을 배치했다. 지난해 기간제 교사 42명, 정규교사 1명에 불과하던 보건교사가 두배 이상 증가했지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일부 유치원의 경우 만 5세반 최대 인원수가 30명으로 과밀학급에 해당돼 방역 우려가 크다. 유아 특성상 손이 많이 가고 관리가 어려운데 거리두기 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전교조가 조사한 17개 시도교육청 2021년 유치원 학급편성 기준을 보면 학급당 유아 수는 만 3세는 14명~20명(사립 24명)이고 만 4세는 18명~26명, 만 5세는 22명~28명(사립 30명)이다. 유치원은 학급당 유아 수에 대한 법적 기준이 없고 시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정하고 있어 편차가 큰 상황이다. 교원단체들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안전사고·방역을 위해서는 학급당 유아수 14명~16명이 적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일부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을 전담하면서 보건 업무까지 떠 맡고 있다. 비전문가인 교사들이 보건업무를 담당하다보니 방역관리가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사고시 응급처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도 발생한다.

우영혜 국공립유치원연합회 회장은 “유아들은 코로나19 같은 감염병 뿐만 아니라 식중독·독감 등 유행성 질병에 취약해 보건인력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보건지식이 없는 교사들이 해당 업무를 대신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유아들은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교사들이 쉬는 시간 없이 돌보고 있는데 방역 업무까지 추가되다보니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학교보건법상 유치원은 보건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채용해야 한다. 하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도 보건교사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유치원을 먼저 늘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보건교사 확대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교사 정원을 확대하는 부분은 다른 부처와 협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올해 보건교사 배치를 시작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단설 유치원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는 방향성은 갖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