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결혼식, 밥 안 주고 축의금은 적게”…유튜버 발언에 누리꾼 ‘공감’

권혜미 기자I 2024.06.14 12:36:20

유튜버 슈카 영상, 6개월 만 재조명
결혼식 비용·축의금 관련 소신발언
“비싼 밥값을 상대에게 떠넘긴다”

사진=슈카 유튜브 채널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한 유튜버가 결혼식장에서 밥을 안 먹는 대신 축의금을 적게 내는 방안을 제시해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월 유튜버 슈카는 자신의 채널에 ‘결혼식장에서 비싼 스테이크를 주면 어떡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해당 영상이 6개월이 지난 지금 온라인과 SNS상에 퍼지며 뒤늦게 재조명되고 있다.

이날 영상에서 슈카는 결혼식장의 식대와 축의금에 대한 소신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한 10년 전에는 결혼식장 음식값이 3만5000원에서 4만원이었다. 그때는 5만원짜리 지폐 한 장이면 됐다”고 운을 뗐다.

이어 현재 결혼식장 식대가 1인당 최소 6~7만원이라고 짚은 슈카는 “8만원짜리 지폐가 있으면 좋은데 없지 않나. 그래서 10만원을 내려고 하니 과하다 느껴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대로 5만원을 내려고 하면 밥값이 7만원이다. 적자다. 좀생이 같이 보인다”고 했다.

슈카는 “결혼식에서 밥값 5만원이라고 하면 200명에 1000만원이다. 여기에 대관료도 포함돼 있지 않나”라며 “그렇기에 (축의금을) 안 받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그렇게 비싼 음식을 대접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되물었다.

사진=프리픽(Freepik)
그러면서 “사실 결혼식 초대도 좋은 데서 내 마음을 표현하지 않는 거지 않나”라며 “그런데 우리나라는 신기하게 내가 대접하는 비용을 상대한테 떠 넘게 됐다”고 결혼식의 변질된 의미를 지적했다.

슈카는 “이제는 와서 얼굴 보고 축하해 주는 사람보다 차라리 안 와서 밥 안 먹고 축의만 하는 사람을 더 좋아하게 된다. 이렇다 보니 차라리 밥을 안 주면 안 되나 그런 생각도 든다”고 했다. 결국 결혼식부터 너무 큰 비용이 들어 결혼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남녀도 많다는 것.

더불어 슈카는 결혼식 비용을 줄이고 하객들의 부담도 줄이기 위해 ▲지자체가 운영하는 결혼식장에서 식을 균일가로 진행하는 것 ▲비싼 밥이 아닌 간단한 다과를 제공하는 것 ▲대학교에서 결혼하는 것 등의 방안을 내놓았다.

해당 영상에 누리꾼들은 “슈카 말이 틀린 게 없다”, “진짜 요즘 축의금 부담이 너무 심하다”, “남의 돈으로 비싼 밥 사면서 생색내냐는 게 핵심”, “예식업체만 이득 보는 구조”, “축의금 논쟁이 벌어진 게 결국 결혼식 비용이 과도하다는 거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최근 서울 시내 웨딩홀 6곳의 예식 비용을 확인한 결과, 1인당 식대는 평균 8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 최소 6만6000원에서 최대 10만8000원까지 가격대가 벌어졌고, 성수기(통상 3~6월, 9~11월)와 비수기(12~2월, 7~8월) 사이에는 17%가량 차이가 났다. 호텔 웨딩홀은 1인당 10만원을 훌쩍 넘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