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국, 작작 좀 해라" …日언론 '위안부 대책' 비판

조유송 기자I 2018.01.10 10:49:46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위안부 관련 한일 합의에 대해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것으로, 계속해서 착실히 실시될 수 있도록 한국 측에 강력히 요구해 갈 것”이라며 “1㎜도 움직일 생각은 없으며 이는 전혀 바뀌지 않는다”고 9일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e뉴스 조유송 인턴기자] 일본 언론들이 우리 정부의 위안부 합의에 대한 후속 대책을 일제히 비판했다.

산케이 신문은 10일 사설을 통해 “한국은 작작(いいかげん) 좀 하라. 이유 없는 요구에 거부로 일관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전했다. 위안부 합의 후속 대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 일본 정부의 입장을 지지한 것이다.

신문은 “전후 보상 문제는 개인 보상을 포함해 1965년 한일협정으로 해결됐다”면서 “사죄외교를 되풀이해 온 일본의 약점을 잡아 한국 측이 또 다시 이에 응석을 부리고 있다. 일본은 의연한 태도를 고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미우리 신문도 “스스로 지켜야 할 약속은 제쳐두고 일본에 새로운 양보를 요구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태도는 외교 상식에 벗어난 무례”라고 주장했다. 이어 “합의 자체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사과와 반성의 뜻이 담겨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며 “양국 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 신문은 한국 정부가 서울에 있는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점도 꼬집었다.

아사히 신문은 “한국 정부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명확한 아이디어가 보이지 않는다”면서 “위안부 합의는 양국 정부가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반이 된 약속이다. 이제 합의는 의미를 잃어버릴 우려가 크다”고 보도했다.

다만 이 신문은 “1㎜도 움직일 수 없다는 일본 정부의 경직된 자세도 건설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며 “역대 총리는 위안부에게 사죄의 편지를 보냈다. 합의를 지키기 위해 그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선택사항을 생각하는 건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

- 日 외무성 “위안부 소녀상 설치 저지 노력할 것” - 김동철 "아베 방한..文정부, 위안부 합의 분명한 메시지 전달해야" - 고민 끝 평창 오는 아베..위안부 합의 논란 재점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