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침체에 반도체 수출 부진해도…9월 고용률 ‘역대최고’(종합)

조용석 기자I 2023.10.13 12:08:57

9월 고용동향 발표…취업자 증가폭 2개월 연속 확대
건설업 고용 증가 힘입어 男 취업자 3개월만에↑
반도체 부진, 취업영향↓…서비스업 고용 상승세 ‘유지’
기재차관 “다음주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발표”

[세종=이데일리 조용석 공지유 기자] 경기침체와 수출부진 속에서도 9월 고용시장은 역대 최고 고용률 및 역대 최저 실업률을 기록하며 견조함을 이어갔다. 또 운수 및 창고업, 건설업 등 남성 중심 산업군 취업자가 증가하면서 남성 취업자수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달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관광산업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사진 = 연합뉴스)


취업자 증가폭 2개월 연속 확대…男 취업자 3개월만에↑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69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만9000명 증가했다. 지난 7·8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20만명대에 머무르며 다소 추춤했던 고용시장은 지난달(9월) 3개월 만에 30만명대 증가폭으로 재진입했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부터 31개월째 증가세다.

고용률은 63.2%, 실업률은 2.3%로 각각 9월 기준 역대 최고 및 최저치를 보이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 역시 69.6%로, 1989년 관련통계 작성 이래 9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15세 이상 고용률도 1982년 7월 월간통계 작성 이래 동월 기준 최고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5만4000명), 30대(5만6000명), 50대(4만5000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다만 20대에서는 8만6000명, 40대에서 5만8000명 각각 감소했다. 20대 취업자는 지난해 11월부터 11개월 연속 감소, 40대 취업자는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째 감소세다. 다만 20대 취업자 감소는 해당연령층의 인구가 19만2000명이나 감소, 취업자 감소폭의 2배가 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산업별로는 보건 및 사업복지서비스업이 전년대비 11만8000명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가장 컸고 이어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7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6만6000명)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조업은 전년 대비 7만2000명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1월(-3만5000명)부터 9개월 연속 감소했다.

성별로는 여성취업자수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9월에는 남성 취업자수도 전년대비 4만9000명 증가했다. 남성 취업자수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6월 이후 3개월 만이다. 이는 건설업이나 운수 및 창고업 등 남성 근로자가 많은 산업군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건설업은 10개월 만에, 운수 및 창고업은 11개월 만에 전년대비 취업자가 늘었다.

취업시간대별로 보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198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3만8000명(78.1%) 증가했다. 반면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634만명으로 925만명(-59.3%)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9월 추석 연휴에 대체휴무가 포함됐는데 올해는 그런 부분이 없어 지난해 긴 시간(취업자가) 짧은 시간으로 몰려간 상황이 원상복귀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 통계청)


반도체 부진, 취업영향↓…서비스업 고용 상승세 ‘여전’

수출부진과 경기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고용이 견조한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해 급감했던 서비스업 회복세가 계속 진행되는 데다 반도체 수출과 고용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핵심 수출품목이자 성장동력인 반도체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취업유발계수가 2.1에 불과하다. 취업유발계수란 10억원을 새로 투자했을 때 직·간접적으로 늘어나는 취업자를 말한다. 반도체의 취업유발계수는 전 산업의 5분의 1, 전체 제조업의 3분의 1이에 불과하기에 반도체 부진에도 고용에 미친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도 현안분석(최근 반도체경기 흐름과 거시경제적 영향)을 통해 “반도체 수요가 크게 감소할 경우에는 GDP에는 미치는 영향이 클 수는 있겠지만 여타 산업이나 고용에 미치는 파급은 비교적 작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취업유발계수가 높은 자동차 산업의 호조도 고용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자동차 생산지수는 2022년 5월부터 지난 8월까지 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자동차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8.4명으로, 반도체의 4배 수준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3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를 방문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함께 자동차 전용선인 ‘글로비스 스카이호’ 갑판으로 향하고 있다.(사진 = 뉴시스)


아울러 대표적인 서비스업인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2022년 5월부터 현재까지 17개월 연속 취업자가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서비스업 고용회복도 견조한 고용을 뒷받침하는 모양새다. 김시동 기재부 인력정책과장은 “서비스업 고용이 아직 코로나19 이전으로 다 회복된 상태는 아니다”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요양보호·돌봄서비스 고용의 증가세도 고용률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견조한 고용시장 속 가장 큰 문제인 ‘빈일자리’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 회의에서 “다음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 및 미스매치 해소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