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분기 지역경제 수출·생산 부진 계속…3분기 반등 전망

하상렬 기자I 2023.06.26 12:00:00

한국은행, 2분기 지역경제보고서 발간
동남·충청권 개선됐으나 호남·제주권 중심 위축
경기 저점 찍었나…"향후 2분기보단 개선될 것"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지역 경기가 전국적으로 1분기에 이은 부진이 계속됐다고 평가됐다. 다만 앞으로 지역 경기는 IT경기 부진 완화와 물가 오름세의 둔화, 소비심리 개선세 등으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이데일리DB
2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2분기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지역경제는 자동차, 조선의 호조에도 중국 리오프닝 효과 자연, 반도체 업황 부진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보합 수준으 머물렀고, 소비의 완만한 회복으로 서비스업 생산도 보합세를 보이며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중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실시한 업체 모니터링 결과 및 통계 등을 토대로 판단한 것이다.

7개 권역 중 동남권과 충청권이 소폭 개선됐지만, 호남권과 제주권은 소폭 악화됐고, 수도권, 강원권, 대경권은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한은은 “향후 지역경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2분기보단 소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IT경기 부진 완화, 주요국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 제조업 회복을 견인하는 가운데, 물가 오름세의 둔화와 점진적인 소비심리 개선이 서비스업 생산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자료=한국은행
제조업 생산은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등으로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강원권의 감소폭이 컸다.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으로 자동차부품, 의료기기 생산이 위축됐다. 수도권은 반도체 감산에 따라 생산이 줄었고, 호남권, 대경권, 제주권은 각각 석유화학, 기계장비, 음·식료품 등을 중심으로 생산이 줄었다. 동남권은 자동차, 조선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소비심리가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주택시장 정체에 따른 부동산업 부진 등으로 전분기 수준에 머물렀다. 대경권이 소폭 개선됐지만, 호남권과 제주권이 소폭 감소했다. 나머지 권역은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물가 상승, 해외여행 확대 등 영향으로 수도권, 동남권, 강원권, 제주권에서 숙박음식점 생산이 감소세를 보였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모두 앞으로 개선될 것으로 평가됐다. 한은은 “반도체 부진이 느리게나마 완화되는 가운데 주요국 인프라투자 확대, 일부 IT제품 수요 회복이 예상된다”며 “물가 오름세가 둔화되고 소비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운수업, 숙박·음식점업 등이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투자도 전분기 수준을 나타냈다. 설비투자는 친환경 전환 수요에 대응한 투자가 이어졌지만 반도체 관련 투자 축소 등으로 전분기 규모에 정체됐다는 평가다. 동남권은 소폭 증가한 반면 호남권이 소폭 감소했다. 향후 설비투자는 높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IT업종의 투자 축소 기조가 계속되면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을 중심으로 착공면적이 줄어들면서 민간부문이 소폭 감소했지만, 공공부문이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전분기 수준을 보였다. 향후 건설투자는 부동산 경기 둔화,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등으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출 역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자동차 등의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등 IT 업종 부진이 지속된 영향이 컸다. 한은은 향후 수출이 중국 리오프닝 파급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IT 경기 위축이 완화되면서 소폭 증가한다고 내다봤다.

소비는 재화소비가 소폭 감소했으나 서비스 소비가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전분기 수준을 보였다. 향후 민간소비는 고금리 및 고물가 제약요인에도 양호한 고용, 가계소득 증가 등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