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민이 가장 만족한 산림정책은 ‘국토녹화’…8년전比 13.4%↑

박진환 기자I 2023.05.31 11:00:00

산림청, 31일 2023년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 발표
숲가꾸기·임도확대 필요…절반 이상 목재활용에 긍정 답변

남성현 산림청장이 31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국토녹화 50주년을 기념해 실시한 ‘2023년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우리 국민들이 가장 만족해하는 산림정책은 ‘국토녹화’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 꽃나무는 벚나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국토녹화 50주년을 기념해 지난 50년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미래 산림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한 2023년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일반 국민들의 산림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74.9%로 2015년(61.5%)과 비교해 13.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국토녹화(85.4%)’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지난 50년간 모두가 힘을 모아 만든 산림은 우리 국민이 인정하는 자랑스러운 역사로 해석된다.

산림정책에 대해 국민의 기대 수준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숲가꾸기(82.9%), 임도 확대(68.8%)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정원조성 및 관리, 정원문화를 확대(74.9%)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목재이용과 관련해서는 국민의 절반 이상인 58%가 ‘목재를 활용하는 것이 산림을 파괴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또 국민 10명 중 6명(62.0%)은 공익가치 보전을 위해 사유재산권을 침해받는 산림에 대해 산주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산주를 위한 손실보상금 제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46.2%)’, 꽃나무는 ‘벚나무(21.1%)’이다. 국민 10명 중 8명(75.9%)은 연 1회 이상 산을 방문한다고 응답했으며, 주 1회 이상 산을 방문하는 국민(28.6%)은 2015년(9.8%)에 비해 3배 정도 늘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이 가지고 있는 경제·환경·사회문화적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국민의 목소리를 세심하게 듣는 것은 필수적”이라며 “이번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민 만족도가 높은 정책은 내실화하고,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