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LG전자, 미국 테네시州 세탁기공장 준공..3억6천만弗 투자

양희동 기자I 2019.05.30 10:00:00

29일 현지서 'LG전자 테네시 세탁기공장' 준공식
예정보다 6개월 앞당겨 지난해 12월부터 가동
약 600명 근무...대지면적 125만㎡, 연면적 7만7천㎡
연 120만 대 세탁기 생산…10초에 1대씩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들어선 LG전자 테네시 세탁기공장 전경. (사진=LG전자)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LG전자(066570)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있는 테네시 생산법인에서 ‘LG전자 테네시 세탁기공장 준공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마크 그린 미국 연방의회 하원의원, 빌 리 테네시주 주지사, 짐 듀렛 몽고메리카운티 시장, 조 피츠 클락스빌 시장, 김영준 주애틀랜타 총영사 등이 참석했다. LG전자 측에선 송대현 H&A사업본부장(사장), 북미지역대표 조주완 부사장, 리빙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 류재철 부사장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

테네시 세탁기 공장은 현지 세탁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애초 예정보다 6개월 앞당긴 지난해 12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지난 2017년 8월 착공한 이후 15개월 만이다. 신공장은 대지면적 125만㎡, 연면적 7만 7000㎡ 규모로 약 600명이 근무한다. 총 투자금액은 3억 6000만 달러(약 4300억원)에 이른다.

LG전자는 미국 내 첫 생활가전 생산시설인 테네시 세탁기공장을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공장’으로 지었다. 2개의 생산라인에서 드럼세탁기와 통돌이세탁기를 생산하며 연간 생산능력은 120만 대 수준이다. 이곳에서 10초에 세탁기 한 대씩 생산하며 경남 창원 세탁기 생산라인과 비슷한 수준이다.

신공장은 △금속 가공·플라스틱 사출 성형·도색 등 부품 제조라인 △각종 부품을 표준화된 모듈로 만드는 모듈 조립라인 △세탁기를 완성하고 포장하는 생산라인 등 원스톱(one stop) 통합생산체계를 갖췄다. 지능화된 공장 설계와 고도의 통합생산관리시스템은 몇 분 내에 라인에서 생산하는 품목을 변경할 수 있다.

LG전자는 신공장이 중장기 관점에서 미국 프리미엄 생활가전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LG전자는 현지 생산이 연구개발, 디자인, 판매, 서비스 등과 긴밀하게 연결되면 사업역량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공장은 경남 창원 세탁기 생산공장과 더불어 미국 시장에 세탁기를 공급하는 양대 생산기지다. LG전자는 그동안 미국 시장에 공급하는 세탁기를 한국과 태국, 베트남 등에서 생산해왔다. 신공장 가동 이후에는 경남 창원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공급하는 세탁기 물량은 유지하고, 태국과 베트남에서 생산하던 물량은 미국 테네시에서 대신 생산한다.

송대현 사장은 “신공장의 안정적 운영을 기반으로 북미 시장에서 강력한 시장지배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구조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G전자는 신공장 외에도 현지 인프라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미시간주 헤이즐파크에서 전기차용 배터리팩, 앨라배마주 헌츠빌에서는 태양광 모듈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올해 말 완공 예정인 LG 북미 신사옥은 뉴저지에 들어서며 LG전자를 비롯해 LG그룹 계열사가 입주하게 된다.

LG전자가 지난 29일(현지시간) 테네시 세탁기공장 준공식을 가졌다. 왼쪽 두번째부터 조 피츠 클락스빌 시장, LG전자 글로벌생산센터 한주우 자문역, 마크 그린 연방의회 하원의원, LG전자 북미지역대표 조주완 부사장, 빌 리 테네시주 주지사, LG전자 H&A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 김영준 주애틀랜타 총영사, 밥 롤프 테네시주 상공부장관, LG전자 리빙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 류재철 부사장, 짐 듀렛 몽고메리카운티 시장, LG전자 테네시생산법인장 김운태 상무. (사진=LG전자)
LG전자 테네시 세탁기공장에서 직원이 세탁기를 생산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