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교육국제화특구, 경기 화성·부산 해운대 등 12곳 신규 지정

김형환 기자I 2023.07.12 12:00:00

대구 북구 등 총 18개 지역서 운영
교육과정 벗어난 교육 가능…재정 지원도
사교육 유발 지적에…“국제화에 방점”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국제화 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역에 설치하는 교육국제화특구로 경기 화성·부산 해운대 등 12곳이 신규 지정됐다.

교육부 정부세종청사. (사진=이데일리DB)
교육부는 13일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운영되는 교육국제화특구 3기 신규 지정 결과 12곳을 추가해 총 18개 지역에서 교육국제화특구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신규 지정 12개 지역은 경기 화성·광주 광산구·대구 수성구·부산 남구·서부산·중구·해운대구·세종·제주(서귀포시)·충남 당진·충남 천안·충남 홍성/예산이다. 기존 6개 지역은 대구 북구·달서구·인천 연수·서부·전남 여수·경기 안산/시흥이다.

교육국제화특구는 12년 7월 시행된 ’교육국제화특구의 지정·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국제화 사업을 추진하고 교육국제화 선도모델 창출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한다. 교육국제화특구에 선정될 경우 초·중등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이나 교과용 도서를 적용받지 않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정 지원도 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이번 교육국제화특구 지정에서 탈락한 지역은 없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특구 지정은 상대평가가 이닌 절대평가로 진행된다”며 절대 점수만 넘을 경우 특구로 지정을 하고 5년 단위로 재지정 평가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급격히 학령인구가 감소하며 지방소멸 위기가 대두되고 다문화학생이 늘어나며 교육국제화특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교육국제화특구로 인해 영어 몰입 교육을 강화하는 등 사교육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교육부는 과거 1기와 달리 2~3기에서는 ’영어‘ 자체에 국한되기 보다 ’국제화‘에 방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국제화특구에서 어학분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글로벌리더로서 갖춰야 할 소양이라던지 에듀테크 기반 교육 등과 관련한 내용이 더 많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기 이후 다수의 교육국제화특구 지역에서 영어 관련 교육뿐만 아니라 학생 교류 등 국제화 사업에 방점이 찍혀져 있다. 광주 광산구의 경우 일부 학교에서 절반 가까운 학생이 다문화학생들인데 특구 사업을 통해 학생·교사 교류 등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의 경우에도 ’세계시민 양성‘을 목표로 환경·평화·생태·인권 등을 주제로 해외 협력학교와 수업 중심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송근현 글로벌교육기획관은 ”지난 2기 운영 결과 학생들 만족도가 높아지고 국제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아지는 등 큰 성과를 거뒀다“며 ”교육국제화특구를 중심으로 지역 주체 간 협업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을 살리는 교육국제화 선도모형을 창출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