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與, 새 전대 룰 11일 발표…민심 반영 비율 공감대·지도체제는 이견

이도영 기자I 2024.06.10 11:50:26

여의도 중앙당사서 당헌·당규 특위 회의
민심 반영 50·20%에서 의견 접근 이뤄
승계형 단일 지도체제는 포함 안 될 수도

[이데일리 이도영 기자] 국민의힘 당헌·당규 특별위원회가 새 전당대회 경선 규정을 오는 11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민심 반영 비율에 대해선 의견 접근을 이뤘으나, 황우여 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띄운 ‘승계형 단일 지도체제’는 여전히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 특위 위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이견이 거의 좁혀졌는데, 발표할 정도엔 이르지 못했다”며 “내일은 결론이 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당헌·당규 특위는 오는 12일까지 전당대회 규정을 손본 후 13일 당 비상대책위원회에 안건으로 올려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특위 논의의 최대 관건은 지도체제 성격과 현행 당원투표 100%로 치러지는 경선에서 국민 여론조사를 어느 정도 반영할지다. 그간 특위 위원들은 당원 8대 민심 2와 당원 5대 민심 5라는 두 가지 안을 놓고 이견을 보였으나, 이날 회의에서 어느 정도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한 특위 위원은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각각 8대 2와 5대 5라는 마지노선을 제안했던 분들이 움직일 수 있는 느낌을 받았다”며 “(민심 반영 비율이) 국민적 관심이 필요한 것이라 그쪽 의견을 더 많이 조율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특위가 오는 11일 회의 후 발표할 새 전당대회 규정에 지도체제까지 포함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황 위원장은 전당대회에서 1등은 당 대표, 2등은 수석 최고위원에 당선되는 ‘2인 지도체제’를 언급한 바 있다. 당 대표가 정치적인 이유로 물러날 때마다 지도부를 비대위로 전환했던 병폐를 막아보자는 의도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대표에 당선될 때를 대비해 친윤(親윤석열)계를 지도부에 넣으려는 방안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황 위원장은 명칭을 ‘승계형 단일 지도체제’로 바꿨다.

특위 위원은 “(지도체제 변경은) 시간 제약도 많고 다 다루기에 부담되는 측면이 있다”고 했다.

여 위원장도 승계형 단일 지도체제에 대해 “이런저런 의논을 했다”며 “저희가 개정할 것은 의견을 모았다”고 에둘러 답했다.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장이 지난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1차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