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분기 전국의 성인 20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 우울 등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울위험군은 18.5%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기록한 3.2%에 비해 5.7배나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우울위험군 비율은 2021년 3월 22.8%로 최고점을 기록한 뒤 점차 감소하고 있다. 30대와 여성이 다른군에 비해 우울 위험이 높았다.
‘자살을 생각한다’는 응답자 비중도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여전히 수준이다. 2019년 4.6% 수준에서 2021년 3월에는 16.3%까지 증가했다. 2022년 3월에는 11.5%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유행 이전의 2.5배 수준이다. 코로나19 확진자 비율이 늘면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호소하는 응답자도 12.8%나 됐다.
연구팀은 “우울위험군은 30대·여성·소득감소자가, 자살생각률은 30대·남성·소득감소자가 높으다”며 “최근 40대 우울위험군 비율이 상승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일상회복을 위한 심리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먼저 일상회복에 따른 지역사회 중심 심리 지원한다. 코로나19 유가족, 대응인력 등 정신건강 취약계층 중심 지원 강화한다. 그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제한적으로 운영해온 방문서비스와 대면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심리지원 서비스를 다양화한다. 일반국민 정신건강 검진 등 사후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
인터넷 포털과 지역 공공기관 협조를 통해 정신건강복지센터나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 홍보도 강화한다. 국민들에게 정신건강 서비스 인지도를 높이고, 서비스 사각지대에 있는 마음건강 취약자를 발굴하고 등록을 유도하는 등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도 힘쓸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국민이 건강하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심리지원을 지속 추진하고 국민 누구나 도움이 필요할 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