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포항 지진피해 주택 정밀점검 착수…내년까지 옥외대피소 표지판 설치

송이라 기자I 2017.11.28 11:25:12

위험·사용제한 판정 주택, 오늘부터 정밀점검
옥외대피소 관리체계 개선…내년까지 표지판 설치 완료
중대본, 내주 구체적 피해액·복구계획 발표

20일 오후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초등학교 도서관이 지진 피해를 입어 벽이 허물어져 있다. 이 학교는 정부가 지진 발생 시 주민들이 대피하도록 옥외대피소로 지정해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공개한 곳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정부가 포항 지진으로 상당한 피해를 본 주택에 대한 정밀 점검에 착수한다. 또 현재 50%에도 채 못미치는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 설치율을 내년 상반기까지 100%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지난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에 대한 구체적인 피해액과 복구계획은 내주 초 발표할 계획이다.

정종제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총괄조정관은 2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거나 위험한 주택에 대한 정밀점검에 착수하고 지진 옥외대피소, 이재민 실내구호소 운영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 27일 중앙수습지원단과 포항시 합동으로 추진한 1, 2차 피해·위험 주택 안전점검이 마무리됨에 따라 이날부터 즉시 정밀점검에 착수한다. 대상은 건물의 출입을 제한하는 수준인 ‘위험’ 판정을 받은 57개소와 출입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사용제한’ 87개소 중 공동주택과 다중이용시설, 어린이집 등이다. 정부는 전문업체와 수의계약을 통해 전문장비로 안정성을 평가하고 보수·보강 방법까지 제시할 계획이다.

다만 1차 점검시 사용가능 판정을 받았음에도 눈에 보이는 균열로 인해 불안을 호소하는 주민들에 대해서는 계속 설득작업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총괄조정관은 “불안심리로 구호소에 오신 분들도 많다”며 “포항시와 협의해서 안전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 설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지난 10월말 현재 옥외대피소 안내표지판 설치율은 41.8%로 지진 발생 초기 대피장소를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재난안전 특별교부세를 활용해 올해 말까지 안내판 설치율을 70%까지 높이고 나머지 안내판도 내년 상반기까지 설치 완료토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옥외대피소 수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재민 구호와 장기 이주 서비스도 강화한다. 28일 오전 6시 기준 총 1206명의 이재민이 실내구호소에 임시 거주중이며 장기 이주를 희망하는 대성아파트·대동빌라 등 251가구는 어제까지 103가구가 LH임대주택 등에 입주했다. 정부는 이재민들이 전세 임대를 선호하는 점을 고려해 공인중개사협회와 협의해 전세임대 물량을 추가 확보하고 이재민이 희망하면 조립식 주택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이재민 실내구호소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사생활 보호 및 편의 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본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이재민 실내구호소 지정·운영 지침’(가칭)을 제정한다. 실내구호소가 특정 구역에 편중되지 않고 접근성도 확보될 수 있도록 인구수와 면적 등을 고려해 지정토록 개선하는 한편 구호훈련도 실내구호소 입소·운영까지 훈련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다음주 초 이번 포항 지진으로 발생한 피해액과 구체적인 복구계획을 종합해 발표할 예정이다.

표=행안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