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랜섬웨어 공격에 활용된 암호화폐, G7정상회의 의제로 오른다

이정훈 기자I 2021.06.09 10:54:49

11일부터 열릴 G7정상회의서 바이든 대통령 직접 언급
설리번 안보보좌관 "랜섬웨어 공격·암호화폐 역할 발언"
美의회서도 사이버 공격 대응 위해 암호화폐 규제 요구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최근 미국 최대 송유관업체와 세계 최대 육류가공업체 등이 잇달아 랜섬웨어 공격을 받는 일이 벌어지자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오는 11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사이버 공격과 그와 관련된 가상자산 이슈를 논의하기로 했다.



8일 뉴욕타임즈(NYT)에 따르면 제이크 설리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주말에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가상자산과 랜섬웨어 공격에서의 가상자산의 역할에 대해 발언할 것”이라며 G7 정상회의에서 이들 이슈가 주요한 의제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설리반 보좌관은 “랜섬웨어 공격은 국가의 핵심 인프라를 대상으로 한 공격이기 때문에 반드시 대응해야 하는 국가 안보에서의 우선 순위”라면서 “랜섬웨어 공격의 핵심이 되는 가상자산과 관련된 도전에 어떻게 대응하는 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최근 자국 내 최대 송유관업체인 코로니얼 파이프라인과 세계 최대 육류가공업체인 JBS 등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이 연이어 일어났다. 공격을 가한 해커들은 몸값으로 기업에 가상자산 지급을 요구했다.

그동안 바이든 대통령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에 대해 대체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다만 지난해 7월 유명인들의 계정을 훔쳐 팔로어들에게 가상자산을 보내 달라고 요청한 해킹 사건 이후 바이든 당시 대선 후보는 자신의 트위터 게시물에서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쓴 정도였다.

현재 미 상원 정보위 소속 의원 2명이 해커들에게 익명 거래를 허용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상자산을 규제하고 추적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마크 워너 민주당 상원의원은 최근 NBC와의 인터뷰에서 “가상자산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사이버 공격자들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으로 몸값을 요구하는 일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 블런트 공화당 상원의원도 “추적할 수 없는 성격과 사용 편의성 때문에 가상자산이 랜섬웨어 공격자의 주요 도구가 됐다”며 “가상자산이 범죄 활동의 배후로 방치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