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항일독립유산 찾습니다.. 임시정부 100년 앞두고 공모

이정현 기자I 2018.04.10 09:25:00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광복군 등 사료 찾아
내년이 100주년.. 발굴 및 복원 시급
"나라사랑 정신 재조명 계기될 것"

임시의정원 문서(사진=문화재청)
임시의정원 문서(사진=문화재청)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문화재청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유실되거나 잊힌 항일독립유산을 찾는다.

문화재청은 13일부터 5월12일까지 한 달간 대한민국임시정부·임시의정원·한국광복군에서 생산·배포한 기록물이나 설립·운영에 직접 참여한 인물들의 일기·수기 등을 공모한다. 대상은 동산이며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 제34조에 따라 제작한 지 50년 이상의 유물로 제한한다.

이번에 공모되는 유물들은 각 분야의 전문인사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추가조사 여부가 정해진다. 관련 전문가 3명 이상이 등록조사를 시행해 문화재위원회를 거쳐 문화재 등록 여부가 최종 결정한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잊힌 항일독립유산들을 찾아내기 위해 수차례 자료조사와 가치평가를 통해 보존·활용이 필요한 것들을 문화재로 등록해왔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2019년을 앞두고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록물을 중점적으로 발굴하고 있지만 수많은 관련 유산들이 이미 파괴되었거나 해방 후 사회혼란의 과정에서 유실되면서 발굴이나 복원이 시급하다.

현재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 광복군 관련 문화유산은 총 9건만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2건(대한민국임시의정원 문서, 대한민국임시정부 편찬 한일관계사료집)이 문화재로 등록되기 위한 예고절차를 밟는 중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생산한 기록물은 1932년 윤봉길 의사의 상해공원 의거 직후 일제가 상해 임시정부사무소를 습격하여 모든 문서를 압수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 행방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한 1945년까지 생산한 문서들도 해방 후 환국할 때 13개의 가방에 나누어 들어왔지만 한국전쟁으로 유실됐다. 광복군이 환국하면서 가져온 기록물들도 행방이 묘연하다.

문화재청은 “이번 대국민 추천을 통해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관련 기록물의 존재가 밝혀지고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선열들의 숭고한 삶과 나라 사랑의 정신을 재조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