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무협 "高성장 인도 주류시장 진출, 주정부 규제부터 풀어야"

성문재 기자I 2014.12.22 11:00:02

주별로 제조·유통 등 관련 규정 제각각
현지 업체 파트너십 등 신뢰 구축 필요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인도의 주류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각 주 정부의 복잡하고 상이한 규제가 인도 주류시장 진출의 큰 장벽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난해 5월 인도에 진출한 하이트진로(000080)는 현지사와 제휴해 뭄바이, 델리, 고아, 뿌네 등에서 소주를 유통 중이지만 각 주별로 허가를 받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으며 첸나이 주 정부에서는 2년이 지나도록 브랜드 등록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3일 ‘인도 주류시장 진출, 복잡하고 상이한 각 주 정부의 규제를 통과해야’ 보고서에서 “인도 헌법에 따라 주류 판매, 유통, 가격통제에 관한 권리는 주 정부가 독점하고 있고 주마다 주류 제조, 유통, 허가절차, 세금관련 규정이 모두 제각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힌두교와 이슬람교 신자가 95%를 차지하는 종교국가인 인도는 음주를 금기시 해 왔지만 최근 인터넷과 미디어를 통한 서구문화 유입으로 인도 주류시장 규모는 연평균 8~12%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10년 기준 인도 음주인구는 2억 명을 넘어섰고 매년 약 20%의 증가세를 기록중이다.

인도 주류시장은 인도산 양주, 맥주, 인도 전통주로 구분되며 이 중 인도산 양주와 맥주는 매년 9~15% 성장하고 있다. 인도 업체들뿐 아니라 사브밀러, 칼스버그, 하이네켄, 디아지오 등 글로벌 기업들도 인도 주류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이유다.

송송이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인도는 각 주별로 다른 국가라고 할 만큼 주별 제도가 상이하다”며 “중앙정부의 제도뿐 아니라 주정부의 제도와 법률을 면밀히 조사하고 시장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연구위원은 또 “현지 사정에 능통한 현지 업체를 파트너로 삼아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 관련기사 ◀
☞ 무협 "인도시장 진출 청신호..모니터링·정부지원 필요"
☞ 무협 '온라인 해외마케팅 수출성공 스토리' 발간
☞ 무협 "복잡한 FTA활용법 품목별로 꼼꼼하게"
☞ 무협 "극동지역 기반, 대러 투자 진출 확대하자"
☞ 무협 "내년 수출 6천억 달러 넘는다"
☞ 무협 "한-호주·캐나다 FTA 비준 동의 환영"
☞ 무협 "일학습병행제, R&D·서비스 인력 분야로 확대해야"
☞ 무협, 헝가리 경제사절단과 韓기업간 무역투자 상담회 개최
☞ [포토]무협, 한·중 FTA 활용전략 세미나 개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