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운전석? 놀라지 마요"…'완전 무인' 자율주행차 달린다

김아름 기자I 2024.06.12 11:00:00

국토부 임시운행 허가
단계적 검증 후 완전 무인주행 허용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그동안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형태의 자율주행차만 운행되던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운전자 탑승없는 자율주행차 운행을 시작한다. 이미 미국, 중국, 일본 및 캐나다 등지에서는 무인 자율주행차가 운행되고 있다.

미국에서 운행 중인 무인택시 크루즈. [사진 게티이미지코리아]
국토교통부는 무인 자율주행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해 국내 자율주행 새싹기업(스타트업)에서 개발한 무인 자율주행차의 일반 도로 운행을 허가(임시운행허가)한다고 12일 밝혔다. 임시운행허가를 받은 차량은 국내 최초의 승용 무인 자율주행차로 최고속도 50km/h로 운행된다. 서울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중 3.2㎞ 순환구간을 달리게 되며 혼잡시간을 피해 오전 10시 ~ 오후 5시 및 저녁 8시 ~ 오전 7시 운행된다. 비상자동제동, 최고속도제한 등 안전기능과 차량 내·외부 비상정지버튼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자율주행 전용 실험도시 케이-시티(경기 화성)에서 도심 내 무인 자율주행을 위한 안전요건 확인을 모두 마쳤다.

국토부는 보다 철저한 안전관리를 위해 운행가능영역 내 단계적 검증절차를 도입한다. 이번 임시운행허가 차량이 검증절차를 한 번에 통과할 경우, 이르면 올해 4분기 초 무인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 1단계 시험자율주행은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실시하고, 2단계에서는 시험운전자가 조수석에 착석하는 대신 비상조치를 위한 원격관제·제어 또는 차량 외부 관리인원 배치 등의 조건이 부여된다. 무인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시험자율주행 중의 운행실적(사고 발생여부, 제어권 전환빈도 등)과 무인 자율주행요건에 대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또 국토부는 이번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이후 기업들의 무인 자율주행 실증 소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세부 기준도 연내 고도화할 계획이다.

박진호 국토부 자율주행정책과장은 “2016년부터 총 437대의 자율주행차가 임시운행허가를 취득해 기술·서비스를 실증했는데 이번 무인 자율주행 실증이 또 하나의 변곡점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정부는 자유로운 무인 자율주행 실증환경 조성과 국민 안전 확보라는 두 가지의 과제를 조화로이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