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에서는 찬물만"…독일, 에너지 절약 나섰다

이현정 기자I 2022.07.29 10:45:06

독일, 러 가스 공급 축소로 '에너지 위기'
베를린·하노버·뮌헨 등 대응책 속속 발표
가로등 불빛·난방 시기·수온 등 제한

[이데일리 이현정 인턴기자] 독일의 여러 도시가 찬물을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냉난방을 제한하는 등 에너지 절약에 나섰다.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유럽에 가스 공급을 대폭 축소하며 ‘에너지 무기화’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독일 하노버 신시청사. (사진=AFP)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독일 하노버와 베를린, 뮌헨 등 대도시들이 가스공급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전했다.

니더작센주(州)의 주도 하노버는 지난 27일 유럽의 대도시 가운데 처음으로 ‘에너지 절감 조치’를 발표했다. 먼저 공립 수영장과 스포츠 센터의 샤워시설은 물론 공공 화장실에서는 찬물만 사용하도록 강제했다. 또 공공시설의 난방시기는 오는 10월부터 2023년 3월까지로 제한했으며, 이때 실내 온도는 20℃를 넘을 수 없도록 했다. 이동식 에어컨과 온풍기 사용은 전면 금지됐다.

이번 조치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날 발표한 ‘가스 수요 15% 감축 방안’에 따른 것이다. 녹색당 소속의 벨리트 오나이 하노버 시장은 “상황이 점점 더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에너지 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고, 에너지 부족에 취약한 공공시설을 보호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수도 베를린은 같은 날 밤 에너지 절약을 위해 공공시설 200여곳의 모든 불빛을 껐다. 관광 명소인 유대인 박물관과 전승기념탑, 베를린 대성당을 비추던 조명도 사라졌다. 남부 도시 뮌헨에서도 마리엔 광장에 설치된 모든 가로등이 소등됐으며, 중앙 분수도 가동을 중단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에는 가스 수요의 55%를 러시아에서 충당해 왔다. 녹색당 소속의 베티나 자라류 베를린 부시장은 “독일은 러시아로부터 전례 없는 수준의 위협을 받고 있다”며 “현재는 에너지를 최대한 신중히 다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