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늦어지면 특별대책지구로 지정

김미영 기자I 2020.09.08 10:00:00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 특별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사용범위도 확대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앞으로는 신도시 등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되면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을 통해 특별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대도시권 주민들의 편리한 출퇴근을 지원하기 위해 광역교통시설 부담금의 사용 범위는 넓어진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행령이 8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시행령은 먼저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기준 및 절차를 마련했다.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에 따라 수립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되는 경우 광역교통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을 통해 광역교통특별대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게 된다. 신도시 등의 입주가 진행됐거나 1년 이내에 입주 예정임에도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이행률 또는 집행률이 50% 미만 혹은 철도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된 경우 특별대책지구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기간은 최초 3년 이내 기간에서 정하도록 하고, 만료시점에 기준 충족여부에 따라 최대 3년의 기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도록 해 최대 6년까지 지정 가능하다. 아울러 지구 지정에 따라 광역교통특별대책을 수립할 경우 대책의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연차별 운영 및 건설·관리계획을 함께 마련토록 했다.

새 시행령은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사용범위도 확대했다. 그동안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은 광역도로·철도 등 광역교통 관련 시설에 한정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돼 일부 수익성이 부족한 광역버스 노선은 충분한 운행을 지원하기 어려웠다. 이제는 부담금의 사용범위가 확대돼 앞으로는 광역버스 서비스가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환승 정류소 및 버스 회차 시설, 운수종사자 휴게소 등 광역버스 이용자 및 운수종사자의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설의 건설, 개량사업에도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사용할 수 있다.

지종철 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에 따른 입주민의 교통불편 해소와 광역버스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