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LG전자, 청소기 폐배터리 회수해 새 배터리로 활용한다

최영지 기자I 2022.04.28 10:00:00

6월말까지 전국 LG전자 서비스센터서 폐배터리 수거
무선·로봇청소기 폐배터리 반납 캠페인 진행
"더 나은 환경 만들기 위한 ESG경영 실천"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LG전자가 무선청소기와 로봇청소기에서 나온 폐배터리 수거를 통한 재활용에 앞장서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한다.

LG전자(066570)는 28일 경남 창원 LG전자 R&D센터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자원순환사회연대와 ‘청소기 폐배터리 수거 및 재활용 공동 캠페인’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

이번 캠페인은 다음달 1일부터 오는 6월30일까지 2달 간 진행된다. LG전자는 무선청소기와 로봇청소기에서 나온 폐배터리를 전국의 LG전자 서비스센터를 통해 수거한다. 고객은 LG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다른 제조사의 청소기 폐배터리도 반납할 수 있다.

LG전자는 무선청소기와 로봇청소기 사용고객이 증가하면서 폐배터리 발생도 늘어남에 따라 이번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전자가 서비스로 교체하거나 추가로 판매한 배터리는 지난해 기준 연간 13만개가 넘는다.

캠페인 기간 중 폐배터리를 반납한 고객에게는 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나 새 배터리 구입 시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LG전자는 이번 캠페인으로 청소기 폐배터리 회수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폐배터리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희유금속들을 추출해 리사이클링하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LG 코드제로 A9 무선청소기’의 배터리 1개에서는 니켈(31.91g), 코발트(4.21g), 리튬(6.06g), 망간(2.04g)의 희유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LG전자는 수거한 배터리에서 추출된 희유금속을 새로운 배터리를 만드는 재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폐기물의 자원화와 순환 경제를 추구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해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ESG 경영의 실천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LG전자는 지난 2017년 차원이 다른 성능과 편리함을 갖춘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을 선보인 이래 △자동 물공급 시스템을 갖춘 물걸레 흡입구와 더 강력해진 성능을 갖춘 ‘코드제로 A9S’ △300만장의 사물 이미지를 학습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더 똑똑하고 편리해진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R9 오브제컬렉션’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 오브제컬렉션’ 등 혁신 제품을 선보이며 국내 무선·로봇청소기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다.

백승태 LG전자 H&A사업본부 리빙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 부사장은 “앞선 성능과 편리함을 갖춘 가전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환경까지 생각하는 다양한 활동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와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사진=LG전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