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文대통령, 대북특사 공식화…與 "환영" vs 野 "대미특사부터"(종합)

유태환 기자I 2018.03.02 12:01:33

文대통령 트럼프와 전화통화서 "조만간 파견"
與 "한반도평화 분위기 지속·강화하는 조치"
한국 "거짓평화 우려"·바른미래 "한미공조 우선"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을 공식화한 가운데, 정치권은 이에 대한 엇갈리는 반응을 보였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일 ‘환영’ 일색의 입장을 쏟아냈지만, 야권은 대북특사보다 대미특사를 먼저 파견해야한다며 날을 세웠다. ‘천안함 폭침 주범’으로 알려진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방남 논란으로 정점에 이른 대북문제 관련 여야 공방이 대북특사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시 논의했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북한 김여정 특사의 답방형식으로 대북 특사를 조만간 파견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조성된 한반도평화 분위기를 지속, 강화시키는 대단히 시의적절한 조치”라며 이같이 밝혔다.

추 대표는 “정부는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으로 북한과 미국, 미국과 북한 사이에 쌓여 있는 불신과 긴장의 벽을 걷어내야 할 것”이라며 “대북 특사 이후에는 대미 특사도 함께 보내서 북미간 대화를 적극적으로 중재하고 평화의 결실을 맺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 역시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대북특사 결과를 알려달라며 남북 접촉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며 “비핵화와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양국 간 물 샐 틈 없는 공조 속에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점점 고조되는 남북 간, 북미 간 대화 가능성에 대해 우리 정부가 차질 없이 준비하고 우리 정부 주도의 한반도 구상이 현실화하도록 여당도 만반의 준비를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반면 야권은 남북대화보다 한미공조가 우선임을 분명히 했다.

여성의원 최초로 외교통일위원장을 지낸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은 YTN라디오 ‘신율의 새아침’에 출연해 “대북특사보다는 대미특사가 지금 우선”이라며 “한미동맹에 미국과 한국의 상당한 시각차이가 많다”고 비판했다.

나 의원은 “지금 대북특사를 서두르는 것이 과연 도움이 될까 하는 부분이 있다”며 “북한이 오죽 지금 답답하면 한국에 왔겠느냐. 북한으로서도 대북제재나 이런 것의 효과로 인해 굉장히 몰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정태옥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북의 고위급 대표단이 방한 당시 ‘핵보유국 지위를 갖고 미국과 대화하겠다’·‘한미 연합훈련이 이뤄지면 수용할 수 없다’며 속셈을 드러낸 것을 비추어볼 때, 현 시점에서의 남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핵폐기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며 “따라서 북핵대화가 북의 핵을 용인하는 거짓 평화회담의 가능성이 우려되는 문제를 분명히 지적한다”고 했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역시 최고위원회의에서 “대북특사 이전에 대미특사를 워싱턴에 파견하든지 문 대통령께서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든지, 한미동맹의 긴밀한 조율과 공조가 우선임을 분명히 한다”고 꼬집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엊그제 제가 대정부 현안 질의 때 대북특사보다는 대미특사를 (보내야 한다고) 얘기했다”며 “북한 핵 문제는 북미 간의 문제”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다만 “무엇보다도 남북관계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미국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라면서도 “이번 대북특사는 가야 한다. 북한에서도 김정은의 여동생이 특사로 왔기 때문에, 우리도 어쨌든 가야 한다”고 했다.

대북 특사단 방북 ·방미

- [전문] 임종석, 남북정상회담준비위 1차 회의 결과 브리핑 - 임종석, 남북·북미정상회담 사이 ‘한미정상회담’ 추진 의사 내비쳐(종합) - 트럼프 또 자화자찬 "김정은과 만남은 위대한 뉴스이자 기적"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