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금통위, 금리도 물가전망도 유지하고선 "물가 상방위험 커졌다"(상보)

최정희 기자I 2024.05.23 10:52:28

5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 공개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11회 연속 동결
"물가 목표 수렴할 것으로 확신 일러"
소비 2분기중 조정되나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
"성장세 개선에 물가 상방 압력 증대되나 완만한 소비로 영향 크지 않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출처: 한국은행)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3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해으나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물가 전망의 상방리스크가 커졌다”는 문구가 새로 삽입했다. 그럼에도 한은은 올해 물가상승률 및 근원물가 전망치를 각각 2.6%, 2.2%로 유지했다.

금통위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작년 2월 이후 11회 연속, 1년 4개월째 금리 동결했다.

금리 동결 후 공개된 5월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선 “국내 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라며서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밝혔다.

4월까지만 해도 “국내 경제는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자 물가 전망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밝혔었다.

4월에는 ‘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으나 이달에는 ‘물가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바뀌었다. 또 물가 전망 관련 ‘불확실성이 높다’에서 ‘상방 리스크가 커졌다’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그러면서도 물가 전망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특이한 부분이다.

금통위는 결정문에서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 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중 소비자 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을 2월 전망 수준은 2.6%, 2.2%로 각각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 “향후 물가 경로에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 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 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또 국내 경제에 대해선 “수출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중 성장률은 2월 전망치(2.1%)를 상당폭 상회하는 2.5%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성장경로는 IT경기 확장 속도, 소비 회복 흐름, 주요국의 통화정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성장경로와 관련 4월엔 ‘주요국의 통화정책, IT경기 개선 속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구조조정’이 언급됐으나 이달엔 ‘PF 구조조정’ 대신 ‘소비 회복 흐름’이 언급됐다.

금통위는 결정문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 및 성장세 개선 흐름,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가계부채 증가 추이, 주요국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을 면멸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문구를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또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기존 문구를 유지했다.

한편 이날 금리를 동결한 배경에 대해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금리 결정 배경과 관련 ‘환율 변동성 확대’ 문구는 2월부터 석 달 연속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