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범정부 로드맵 발표

박일경 기자I 2020.06.11 10:30:00

‘3T(Test-Trace-Treat)’ 2022년 상반기까지 순차 제안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정부가 11일 오전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K-방역모델’을 세계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로드맵을 확정했다.

로드맵은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로 이어지는 3T(Test-Trace-Treat)를 ‘K-방역모델’로 체계화한 18종의 국제표준을 ISO 등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하기 위한 길잡이로 활용된다.

이번 로드맵에는 자동차 이동형(Drive Thru)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등 국제표준안 18종 이외에 K-방역 관련 연구개발(R&D) 과정에서 얻어지는 임상데이터, 표준물질에 대한 표준화 계획도 추가로 포함됐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K-방역 3T 국제표준화’는 자동차 이동형·도보 이동형(Walk Thru)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생활치료센터 운영 표준모형, 모바일 자가진단 앱(App) 요구사항 등 각 과정별로 즉시 표준화가 가능한 분야부터 우선 제안할 계획이다.

표준안 개발에 연구가 필요한 분야는 오는 2022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국제표준화 18종은 3T(Test-Trace-Treat) 단계별로 체계화해 추진된다. 우선 검사·확진(Test) 단계는 감염병을 정확히 진단하고 확진자를 선별하기 위한 진단시약·장비, 검사기법, 선별진료소 운영시스템 등 6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하기로 했다.

다음 역학·추적(Trace) 단계는 자가 격리자 등을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앱, 전자의무기록(EMR),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등 4종을 제안한다는 입장이다. 마지막으로 격리·치료(Treat) 단계는 확진자 등을 격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생활치료센터 운영,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체외 진단기기의 긴급사용 승인 절차 등 8종을 제안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서 제3차 추가경정예산(정부안 1635억원) 등으로 추진할 계획인 감염병 방역 관련 임상데이터, 표준물질, 시험방법 등 R&D 결과물을 표준화해 우리 바이오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