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응급환자 지원 광역상황실 소청과 전문의 배치해야"

이지현 기자I 2024.05.23 10:34:10

아동병원협회, 정부 소아응급의료대책 효과 의문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현재 응급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아 소아응급환자의 위험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장
23일 대한아동병원협회는 “광역상황실에 소청과 의사가 상주하지 않아 소아응급환자의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상황실 의사의 범위에 소아청소년과를 포함시켜 상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급환자의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에는 급박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상황실 의사를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다. 아동병원협회는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사의 상황실 배치를 요구하고 있다.

최용재 대한아동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소아응급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현실은 허약한 소아응급의료체계로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소아응급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 마련도 촉구했다. 최용재 회장은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 소청과화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해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다”며 관련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