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진석 "쌍방울 대북송금, 文정권 상납 스캔들…발본색원해야"

배진솔 기자I 2022.11.17 11:06:12

17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文정권 차원의 대북 뇌물상납 사건 스캔들"
"대북 불법송금, 핵 개발 전용됐으면 文 책임"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쌍방울 그룹과 아태평화교류협회(아태협)의 대북 송금 의혹을 거론하며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5가지 항의 공개 질의를 이어갔다. 정 위원장은 “문재인 정권 차원의 대북 뇌물상납 사건으로 번져가는 이 스캔들을 검찰은 반드시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본청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민간기업 쌍방울의 불법 대북 송금사건이 문재인 정권 차원의 대북뇌물상납공작으로 번져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재인 청와대와 국정원의 주선 혹은 방조없이 민간기업 쌍방울과 민간단체 아태협이 북한공작총책 김영철에 뇌물을 상납하는 일이 가능한가”라며 “서훈 국정원장과 조명근 통일부 장관이 몰랐을리 없다. 명백한 국기문란 사건이다. 문 대통령은 이 비밀접촉과 불법뇌물 상납에 대해 어디까지 알고 있었냐”고 물었다.

정 위원장은 “쌍방울이 (북한에) 돈을 집중적 건넨 시기는 2018년 말 2019년 1월로, 북한조평통위원장 리선권이 2018년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동행했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우리 기업인에게 냉면이 목구멍으로 넘어가느냐고 호통쳤다”라고 전했다. 그는 “북한 정권은 남북정상회담이나 비밀접촉 대가로 뒷돈을 예외없이 요구했다”면서 “쌍방울이 2018년 말, 2019년 1월 건넨 돈이 2018년에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대가로 사후지급된 것은 아닌가”라고 했다.

정 위원장은 2019년 1월 쌍방울이 640만달러를 북한에 건넸고, 비슷한 시기에 롤렉스 명품시계 10여개가 북한 고위층에 전달됐다는 보도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한달쯤 뒤 2019년 2월27일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됐다. 문재인 정권이 하노이 회담에 나서는 북한 환심사기 위해 거액의 달러를 상납한 것은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쌍방울이 대북사업권을 얻는 조건으로 700만달러에 가까운 돈을 북한에 비밀송금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대북사업권은 전혀 개연성 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쌍방울은 국제사회 감시망 피하기 위해 그룹 및 계열사 임직원 수십명을 동원해 거액의 달러를 쪼개서 중국으로 밀반출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쌍방울이 무슨 대북사업을 해서 수익을 낸단 말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재인 정권이 대북불법송금 대가로 쌍방울에게 국내에서 무슨 편의를 주기로 한건가. 김대중 정권이 현대건설을 앞세워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대가로 5억 달러를 불법상납했던 사건이 그대로 재현됐다”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유엔안보리 제재를 무시하고 국법질서를 위반하면서 진행한 대북불법상납에 동원된 기업이 쌍방울 뿐인가”라며 “북한 불법송금 현금들이 김정은의 핵미사일 개발에 전용됐다면 그 책임은 문재인 정권에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 위원장은 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쌍방울 대북 송금과 문재인 정부의 연관성에 대해 언론 보도 외 당에서 파악한 진술이나 근거가 있냐’는 질문에 “보도가 구체성을 띄고 있고 과거에 남북 정상회담 전례에 비춰보면 합리적인 의심·의혹을 살만한 사안이어서 공개 질의한 것”이라며 “이미 쌍방울 대북송금 문제는 수사 진행 중이기 때문에 한 점 의혹 없이 명명백백하게 진상 규명이 되도록 우리 검찰 당국에 촉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