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두 달 천하로 끝난 9·1대책…11월 주택거래량 17%급감

양희동 기자I 2014.12.10 11:00:00

국토부 "전년대비 거래량은 늘어 시장 활력 찾았다"
거래량 늘었지만 집값 안오르고 전셋값만 급등
전문가 "실수요 시장에선 거래 활성화 효과 제한적"

△올해 11월 전국 주택 거래량이 전달보다 20%가까이 급감하면서 9·1대책의 효과가 두 달만에 사라졌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 단지. [이데일리DB]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재건축 연한 단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9·1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두 달 천하로 끝났다. 지난달 전국 주택시장은 거래량이 20%가까이 급감하고 집값도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에 비해 전국 주택 거래량이 20%가량 늘었다며 최경환 부총리 취임 이후 7·24대책과 9·1대책 등의 효과로 시장이 활력을 되찾았다고 평가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주택 시장이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된 상황에서 전세 수요를 일부 매매로 돌려 거래량이 늘었지만, 거래 활성화만으론 집값 상승이나 전세난 해소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1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이 9만1050건을 기록해 전월(10만9375건)대비 16.8%줄었다고 10일 밝혔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만4712건 거래돼 전월대비 17.9%줄었고, 연립·다세대와 단독·다가구도 전달보다 15.2%와 12.1%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이 4만3661건으로 전달보다 거래량이 19.5%줄었고, 지방도 4만7389건으로 14.1%감소해 전 지역에서 주택 매매가 위축됐다.

국토부는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하면 매매 거래량이 7.2%증가했다며 올해 11월까지 누적 기준으로도 전년동기 대비 20.5% 늘었다고 강조했다. 미분양도 2008년말과 비교해 76%감소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 경기가 한창이던 2006년(108만건) 이후 8년만에 가장 많은 거래량을 나타내고 있다”며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올해 거래량은 100만건에 육박해 중개·이사·인테리어업 등 소규모 자영업자의 소득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 취득세 변수로 인해 1월과 7월 뚜렷한 거래절벽 현상이 나타나는 등 거래량 변화가 심해, 취득세가 영구 감면된 올해와는 직접 비교는 무리가 있다는 의견도 만만찮다. 서울·수도권 주요 아파트 단지의 실거래가도 불과 한달새 수천만원씩 급락한 상태다.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전용면적 41.98㎡형 아파트는 지난 10월 6억7500만원에 팔렸지만 지난달에는 6억5400만원에 거래돼 2000만원 이상 떨어졌다. 또 서초구 반포 센트레빌 전용 71.49㎡형 아파트도 4층이 10월 6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11월에는 조망이 더 좋은 8층이 4000만원 싼 6억원에 팔렸다.

특히 서울지역의 경우 올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30%나 늘어났지만 집값은 거의 오르지 않고 전셋값 고공행진도 계속되고 있다.

서울시와 KB국민은행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 아파트값은 단 1%오르는데 그쳤지만 거래량은 지난해 대비 30%(6만6260건→8만5490건)나 증가해 두 지표가 디커플링(탈동조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셋값은 같은기간 3.6%오르며 지난주까지 25주 연속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리서치센터장은 “주택 시장이 고가와 저가 모두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되면서 집값이 조금만 오르면 추격 매수가 더 이상 붙지 않고 있다”며 “가격과 거래량의 디커플링 현상은 실수요 시장에선 계속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내년에도 거래 활성화 정책으론 집값 반등이나 전세난 해결은 어렵다”고 말했다.

[자료=국토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