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립보건연구원 '셀리드'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효능평가 지원

양희동 기자I 2022.03.22 10:21:57

아데노 바이러스벡터 기반 코로나19 예방 백신 대상
임상 2b상 시험 효능평가 위한 업무협약 체결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국립보건연구원이 코로나19 백신 국산화를 위해 셀리드(299660)의 바이러스 벡터 백신 외 국내 개발 mRNA 백신들에 대한 임상시험을 확대한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 연구소는 코로나19 백신 국산화를 위해 지난 21일 셀리드의 임상2b상 시험 효능평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대상은 셀리드가 개발 중인 아데노 바이러스벡터 기반 코로나19 예방 백신이다. 보건연구원은 이번 효능평가지원 협약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국산화 가능성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건연구원은 그동안 국립감염병연구소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사에게 임상시험 효능평가를 위한 인프라(생물안전3등급시설, 국가표준물질, 표준시험법, 분석장비, 전문인력, 기술)와 임상검체 효능 분석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왔다. 현재까지 지원했던 국내 임상시험은 합성 항원 백신 임상3상, DNA백신 임상 1/2상이며, 2022년부터는 셀리드의 바이러스 벡터 백신 외 국내 개발 mRNA 백신들에 대한 임상시험까지 확대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강창율 셀리드 대표이사는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임상시험 검체에 대한 풍부한 분석 경험과 전문인력, 전용 분석 장비 등의 핵심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공신력 있는 임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돼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업무협약에 힘입어 안전성과 효과성이 탁월한 코로나19 백신을 순수 국산 기술로 반드시 개발해 내겠다”고 덧붙였다.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개소 이후 코로나19 백신 국산화를 위해 민·관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총력을 다해 지원해 왔기에 국내 백신 개발 성공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낀다”며 “향후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가 국가 감염병연구 지휘 본부로써 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은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치료제 개발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국제적 경쟁력을 가진 우수한 치료제 및 백신이 개발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고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