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daily인터뷰]"MVNO, PCS 때보다 더 파격 혜택 줘야"

정병묵 기자I 2010.12.24 11:55:14

장윤식 한국케이블텔레콤(KCT) 대표
"사업 여건상 정부 의지 없으면 정착 힘들어"
"저렴한 요금, 정부 친서민정책에도 맞아"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사업의 성공 여부는 정부의 추진 의지에 달렸다. 과거 PCS(개인휴대통신)때보다 더 파격적인 혜택을 줘야 한다."

장윤식 한국케이블텔레콤(KCT) 대표는 22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MVNO 추진이 지지부진 하다가 또 하나의 별정사업체에 그치지 않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장윤식 KCT 대표

한국케이블텔레콤은 내년 MVNO사업을 통해 가입자 50만명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MVNO는 통신사 망을 빌려 이동통신 등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격 경쟁력이 무기다.

장 대표는 "이동전화 보급율이 100%가 넘은 시점에서 시작한 것이니 정부의 의지가 없으면 정착하기 힘들다"면서 "과거 PCS 사업 인가때 한솔과 LG텔레콤(현 LG유플러스)에 엄청난 혜택을 줬던 때보다 (MVNO에) 파격적으로 지원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MVNO 지원이 곧 이명박 정부의 주요 기조인 친서민, 대-중소기업 상생 정책에 딱 들어맞는다고 설명했다. 서민들에 20% 할인된 통화요금을 제공하면서, SK텔레콤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모델이 성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장 대표는 "정부가 망접속, 연동, 단말기 수급 등에 대해 확실한 기반을 조성하기 바란다"며 "MVNO가 시장에서 크지 못하면 새 도매대가 정책을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우선 시행 후 기존 통신3사에 피해가 크다면 (정책을) 수정하는 쪽이 낫다"고 힘줘 말했다.

한국케이블텔레콤은 내년 7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1차적으로 `부분 MVNO`로 시작해, 추후 `풀(full) MVNO`로 확장할 계획이다.
 
부분 MVNO는 콜센터, 과금(빌링) 시스템, 가입자위치등록기(HLR) 등을 갖춘 사업자를, 풀 MVNO는 여기에 이동중계교환기(CGS), 단국교환기(MSC) 등 주요 시스템까지 갖춘 사업자를 가리킨다.

목표대로 내년 7월 KCT 이동통신 서비스가 출시다면, 이용자들은 기존 단말기로 현재보다 음성통화는 20%, 문자메시지는 50% 저렴한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장 대표는 "케이블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과 협력해 TPS(케이블 방송+초고속 인터넷+인터넷전화) 고객들이 이동전화를 함께 이용하는 쪽을 1차 타깃으로 하겠다"며 "현재 과당경쟁에서 발생한 거품을 뺀 가격을 통해 약정이 끝난 이용자층도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대리점 위주의 영업이 아닌 주로 케이블 현장 요원들이 직접 발로 찾아가는 서비스로 유통 비용을 줄일 계획이다. KCT는 티브로드를 비롯, CJ헬로비전, 씨앤앰, 현대HCN 등 주요 SO사들이 주주로 있다.

원활한 스마트폰 서비스를 위해 와이파이망도 대폭 구축할 예정이다.
 
장 대표는 "케이블TV가 와이파이를 깔기에 매우 유리한 인프라를 가지고 있다"면서 "향후 서비스를 해 나가면서 MNO(통신사업자)와 공동으로 망을 깔아 함께 사용하는 방법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MVNO 사업의 `뜨거운 감자`인 도매대가 문제도 풀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무선을 제외한 모든 망을 갖추게 되기 때문에 MNO의 의존도를 낮추다 보면 도매대가도 하락할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장 대표는 "도매대가의 정상적인 산정을 위해 소매요금이 분명히 정의돼야 한다면서 "소매요금이 들쭉날쭉하면 엄청난 손해를 볼 수 있어 정부는 정상적인 산정에, MNO는 투명한 기준 공개에 앞장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한편 22일 방통위에서 세종텔레콤의 인터넷 전화 장비 영업양수 인가를 받은 CJ헬로비전의 독자 MVNO 사업 가능성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설사 따로 하더라도 케이블 인프라라는 공통점 떄문에 협력관계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1974년 KT에 입사해 1995년 SK텔레콤, SK텔링크를 거쳐 지난 3월 KCT 대표이사로 영입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