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코로나 음성 진단서 여전히 기승”

방성훈 기자I 2021.02.07 16:56:09

유럽·아시아 등 세계 각지서 관련 범죄 잇따라
일부 국가 "승객 제시 진단서 더이상 믿을 수 없어"
IATA 등 국제 표준화 움직임…백신 여권 가속화하나

(사진=AFP)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항공 여행객들에게 가짜 코로나19 음성 진단서를 발급해주는 신종 사기가 여전히 전 세계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대부분의 EU 회원국들을 비롯한 세계 각국 정부와 항공사들은 현재 여객기 탑승객들에게 코로나19 진단 테스트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증명서 등을 요구하고 있다.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유럽연합(EU) 경찰기구인 유로폴은 지난 1일 영국·프랑스·스페인·네덜란드 등지에서 코로나19 음성 진단서 판매 용의자들을 적발하고, 항공 여행객들에게 “공항에서 가짜 코로나19 음성 진단서를 판매하는 조직범죄 일당을 조심하라”고 경고했다.

용의자들은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공항에서 여행객들에게 직접 접촉을 시도했고, 스페인과 네덜란드에선 온라인을 통해 판매 행각을 벌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말 영국 런던 루턴 공항에서는 가짜 진단서를 100파운드(한화 약 15만원)에 판매한 한 남성이 체포됐다. 프랑스 경찰은 지난해 11월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에서 가짜 진단서를 150~300유로(약 20만~40만원)에 판매하는 일당 7명을 적발하기도 했다. 프랑스 경찰은 또 가짜 진단서를 가지고 에티오피아행 항공편을 탑승하려던 한 남성을 체포했는데, 이 남성의 휴대전화에서는 200개가 넘는 가짜 진단서가 저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페인에서는 한 남성이 위조 서류를 온라인에서 40유로에 팔다가 체포됐고, 네덜란드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 같은 행위를 한 일당이 적발됐다. 유로폴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여행 제한 조치가 계속되는 한 가짜 음성 진단서 판매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범죄 행각은 비단 유럽에서만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확진자가 적은 아시아에서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인도네시아 경찰은 지난달 말 수도 자카르타에서 가짜 코로나19 음성 진단서를 판매한 8명을 체포한데 이어 이번 달에도 15명을 추가로 체포했다. 이들은 전직 보건 사무원 출신이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지난해 10월부터 하루에 20개씩 위조 진단서를 만들었으며, 이를 약 70달러(약 7만 8000원)에 판매했다.

필리핀 보건부 산하 정부연구소 역시 지난달 “연구소 직원을 사칭한 사람들이 가짜 코로나19 진단서를 판매하고 있다”고 경고한바 있다.

대만에선 지난해 12월 코로나19 음성 진단서를 갖고 있는 인도네시아 이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재검을 실시한 결과 80%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며 경악했다. 대만 정부는

이에 유럽을 중심으로 백신 여권 도입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이달초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지난달 말 아이슬란드가 세계 최초로 전국민에게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서를 발부한 것을 계기로 EU에 백신 여권 도입을 촉구했다. IATA의 대변인은 “종이로 된 진단서는 형식과 언어가 제각각이어서 진위 여부를 판명하기 어렵고 조작도 쉽다”고 지적했다.

또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커먼즈 프로젝트(Commons Project)’는 세계경제포럼(WEF)와 함께 ‘커먼패스(CommonPass)’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국가는 여행자에 대한 테스트 결과 및 예방 접종 요구사항 등과 관련해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20여개국 정부와 협력하고 있지만, 모든 국가가 동일한 디지털 패스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일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커먼프로젝트의 브래들리 퍼킨스 의장은 “국제적으로 코로나19 테스트와 백신 접종 기록을 신뢰할 수 없다면 팬데믹이 지속되는한 많은 국가가 여행 금지 및 의무 격리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