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란 "임시 핵사찰 종료…IAEA, 핵시설 영상정보 접근 차단"

방성훈 기자I 2021.05.23 18:40:10

이란 의회 "핵시설 감시영상 IAEA 제공 않을 것"
핵합의 참가국, 오스트리아서 핵합의 복원 협상 진행
제재 해제 등 진전 보이지 않자 '강경' 입장 전환

10일(현지시간)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핵기술의 날’인 나탄즈 지하 핵시설에서 IR-6형 원심분리기 164기, IR-5형 원심분리기 30기를 연결한 캐스케이드(연결구조)를 가동하는 행사에 참여했다. (이미지출처=AFP)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이란이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합의에 대한 추가 진전이 없자 예고했던대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임시 핵사찰을 종료하기로 했다.

23일(현지시간) 프랑스24와 스위스인포 등에 따르면 모함마드 바게르 갈리바프 이란 의회 의장은 이날 “3개월 간의 모니터링 합의가 5월 22일 끝남에 따라 IAEA는 더이상 핵시설 내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란 의회는 지난 18일 성명에서 “오는 24일까지 핵합의 복원 협상에서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지난해 12월 가결한 법에 따라 핵시설 감시 영상을 IAEA에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란은 올해 2월 핵합의 당사국들(미국·영국·프랑스·독일· 중국·러시아)이 합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IAEA 사찰을 공식적으로 제한하겠다고 엄포를 놨다. 이에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같은달 21일 이란을 방문해 관련 문제를 논의했고, 그 결과 3개월 간 임시로 핵사찰을 유지하는 수준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당시 합의에서 이란 원자력청(AEOI)은 3개월 동안 감시 카메라 영상을 보관했다가 대이란 제재가 해제될 경우 IAEA에 영상을 넘기기로 했고, 핵협정 참가국들은 지난달 초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핵합의 복원을 위한 회담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대이란 제제가 해제되는 등 실질적인 움직임이 보이지 않자 영상을 넘기지 않겠다고 이란 의회가 이날 선언한 것이다. 갈리바프 의장은 저장해 둔 이미지 및 영상 등을 삭제할 것인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이란은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재임 당시인 2015년 미국과 핵합의를 타결했다. 이 합의는 이란의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일방적으로 핵합의 탈퇴를 선언했고, 이란은 이듬해 5월부터 단계적으로 핵합의 조항의 이행 범위를 축소하거나 위반해 왔다.

이란은 핵합의 당시 우라늄을 3.67% 한도내에서 농축하기로 동의했지만, 미국의 탈퇴 이후 농도 상한을 4.5%까지 높였다. 이후 지난해 말 핵 과학자 모센 파크리자데가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것을 계기로 올해 1월 20%까지 상향했고, 약 석달 동안 20% 농축 우라늄을 55kg 생산했다. 통상 핵무기 1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90% 고농축 우라늄 25㎏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20% 농축 우라늄 200∼250㎏을 생산해야 한다.

그러다가 지난달 나탄즈 원전 폭발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자 테러라고 주장하며 농도 60%의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겠다고 IAEA에 통보했다. IAEA는 최근 이란이 우라늄을 63% 농도까지 농축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