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고]양대 함정 기업 합심해 세계시장 공략할 때…총수들 결단 필요

김관용 기자I 2024.05.23 10:11:52

문근식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특임교수
대한민국 잠수함연맹 부회장

2024년 1분기 실적 기준 한국 조선소의 수주액은 136억 달러를 기록했다. 3년 만에 세계 1위에 복귀한 것이다. 좋은 소식이다. 3월 세계 조선소 순위도 1위 HD현대중공업, 2위 삼성중공업, 3위 한화오션으로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잠수함 수출시장에서도 1위를 노리고 있다. 최근 폴란드, 캐나다,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잠수함 구매 의사를 타진하면서 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수출 규모도 대략 16~20척으로 역대급이다.

그런데 이 단비 같은 소식을 접하고 있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그리고 부품 납품기업의 직원들은 걱정이 태산이라고 한다. 두 조선소는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수주 경쟁으로 빚어진 법정투쟁으로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한국 조선소의 이미지가 실추되어 수출기회를 잃어버리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 때문이다.

EU국가들의 경우는 불공정경쟁으로 법적제제를 받은 회사와는 거래를 단절하는 관례가 있어, 해외 경쟁사들과 경쟁 시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국민들의 걱정도 많다. 2016년 국내 방위산업비리 수사가 한창일 때 외국 바이어들의 한국방문이 끊기면서 방산 수출액은 전년(35.4억 달러)대비 32% 감소된 24억 달러에 그친 사례가 있었다.

한국은 1992년 독일에서 잠수함을 도입한지 30여년 만에 우리의 2개 조선소가 경쟁과 협력을 통하여 세계 최고 명품 디젤 잠수함에 성공했다. 이제 세계시장에 그 잠수함을 판매할 때가 되었는데 난데없이 양사가 법정투쟁에 휘말려 정부의 중재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해군이 목표로 했던 18척의 잠수함 확보는 이미 끝났다. 이제 내수 물량이 한계에 도달하여 수출을 하지 않으면 잠수함 건조 인력·시설이 사장 될 수 밖에 없다. 정부의 인위적인 중재 이전에 우리의 해외 잠수함 건조 경쟁사들이 잠수함 건조 인력·시설들을 어떻게 유지하며 경쟁하는지 살펴보고 여기서 교훈을 찾기 바란다.

국내 기술로 독자 설계·건조된 3000t급 잠수함인 장보고-Ⅲ급 배치(Batch)-Ⅰ2번함 ‘안무함’ (사진=방위사업청)
잠수함 베스트 셀러인 독일의 HDW조선소도 해외 판매부진에 따른 경영악화로 2002~2005년 미국의 BANK ONE 사에 팔렸다가 다시 사들이는 수난을 겪었다. 2012년 인도네시아 잠수함 수주전에서 한국에 패한 후 2013년 독일의 TKMS 사에 매각되었다. 100년 전통의 잠수함 건조 강국 이탈리아도 수출시장 개척 실패에 따른 경영악화로 1998년부터는 독일로부터 잠수함을 구매하였다.

독일과 경쟁하여 호주 콜린즈급 잠수함 수주에서 승리한 스웨덴의 코쿰스사도 콜린즈급 잠수함 성능 미달로 수출 경쟁력을 잃어 1999년 독일에 매각되었다가 2012년 어렵사리 자국에 복귀했다. 네덜란드는 1988년 일찍이 대만에 씨 드래곤 2척을 판매한 후 해외시장 개척을 본격화 했으나 독일의 마케팅 능력에 밀려 지금은 해외에서 잠수함을 구매하고 있다. 이렇듯 잠수함건조 선진국 조선소들의 흥망성쇠 원인은 모두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기업 총수들의 판단에 좌우되었다.

지금 우리 잠수함 건조 업체들의 운명도 해외조선소들이 겪었던 운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최근 양사가 법정 다툼을 하고 있는 사이 세계의 경쟁 조선소들은 박수를 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만약 이런 법정 다툼으로 2020년대 말까지 수출시장 개척에 실패한다면 한국의 잠수함 산업 기반이 붕괴되고 해외에 매각될지도 모른다.

지금 양사의 법정 다툼을 신속하게 해결 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룹 총수들 밖에 없다고 본다. 이제 기업 총수들이 나서 하루빨리 윈윈하는 방향으로 공정경쟁을 다짐하고 민·관·군이 총력전을 펼쳐 세계의 잠수함 시장을 석권하기를 기대한다. 기업들의 다툼으로 이 천재일우의 수출기회를 잃는다면 국민들의 분노가 하늘에 닿을 것이다. 정부 또한 거대 잠수함 시장을 석권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에 수출금융지원을 강화하는 특별법을 만들어 화답하기를 바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