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카카오뱅크, 달러 무료 환전부터 카톡 선물까지 담은 ‘달러박스’ 출시

최정훈 기자I 2024.06.25 10:30:00

만 19세 이상 입출금계좌 보유자 누구나 최대 1만 달러까지 보유
환전·ATM 수수료 모두 무료…카카오톡 친구에게 '달러 선물'로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카카오뱅크가 해외송금에 국한됐던 외환 서비스 범위를 넓히기 위해 환전 서비스인 ‘달러박스’를 출시했다.

카카오뱅크는 25일 ‘달러박스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규 외환 서비스인 ‘달러박스’를 소개했다. 달러박스는 일상에서 달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전부터 결제까지 다양한 기능을 더한 서비스다. 카카오뱅크는 외화 중 가장 보편적인 ‘달러’에 집중했다. 한국은행의 ‘2024년4월 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 통계에 따르면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달한다.

달러박스는 카카오뱅크 입출금계좌를 가진 만 19세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만들 수 있으며, 1인당 1개만 보유할 수 있다. 최대 한도 1만 달러로 일 최대 입금액과 출금액은 각각 5000 달러와 1만 달러까지다. 달러를 입금하거나 원화로 출금할 때 수수료는 항상 면제되며, 365일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국내 ATM 출금 역시 수수료가 면제된다. 전국 총 5곳의 신한은행 외화 ATM에서 카카오뱅크 앱 내 QR코드를 인식해 이용할 수 있다. ATM 출금은 회당 최소 100달러부터 가능하며, 하루 최대 600달러까지 인출할 수 있다.

달러박스는 달러를 입금할 때 적용됐던 평균 환율과 현재 환율을 비교하는 ‘내 평균 환율과 한눈에 비교’ 기능이 제공해 시세 및 손익 정보를 직관적으로 살필 수 있다. 환율 비교 알림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카카오뱅크 앱에 접속하지 않아도 알림을 통해 내 평균 환율 및 현재 환율을 확인할 수 있다.

‘달러 선물‘ 서비스를 통해 신혼여행을 떠나는 친구나, 졸업을 앞둔 자녀에게 축하의 의미를 담아 달러를 선물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 친구라면 누구에게나 ’달러 선물‘을 발송할 수 있다. 선물을 받은 친구는 카카오톡 메시지창에서 ’달러 선물받기‘ 버튼을 클릭해 달러박스로 받을 수 있으며, 30일 이내 받지 않으면 자동 환불된다. ’달러 선물‘은 하루 최대 500달러, 한 달 최대 5000달러까지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달러박스‘ 출시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먼저 7월 8일까지 ’달러박스‘를 만든 모든 고객들에게 개설 축하금 1달러를 제공한다. 1달러는 개설된 ’달러박스‘에 즉시 자동 입금되며, 선물하거나 환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번 이벤트를 SNS에 공유한 1000명에게 추첨을 통해 커피 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달러박스로 일상에서 모은 달러는 ’트래블월렛‘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트레블월렛과 제휴해 ’달러박스‘를 기타통화 환전 및 해외 결제 서비스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달러박스‘ 내 ’트래블월렛 충전하기‘ 페이지에서 통화 종류 및 금액을 충전할 수 있으며, 유럽, 아시아, 북미 등 전 세계 총 70개국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충전된 통화는’트래블월렛 카드‘로 결제· ATM 출금 등 수수료 없이 사용 가능하다.

김형우 트래블월렛 대표는 “트래블월렛 고객들의 연결 계좌를 살펴보면 카카오뱅크의 수가 압도적일 정도로 양사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 공통 고객이 이미 많았다”며 “이번 연결로 간편하게 달러를 충전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고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카카오뱅크는 트래블월렛과의 제휴를 시작으로 ’달러박스‘ 기반의 외화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핀테크 스타트업 및 국내외 금융사 뿐만 아니라 각종 제휴사들과 협업해 출금, 쇼핑, 해외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달러박스‘에 접목해 외연을 넓힐 계획이다. 또 ’모임통장‘이나 ’26주적금‘ 등과 같이 카카오뱅크만의 특색을 담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연결할 계획이다.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 오너(SO)는“’달러박스‘를 통해 가장 많이 쓰지만 친숙하지 않은 외화인’달러‘를 일상에서 사용하는 트렌드를 만들어보고 싶다”며 “새로운 외화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제휴사들과 함께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