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동정세 불안에 유가 ‘꿈틀’…산업부, 국내 수급상황 점검

김형욱 기자I 2024.01.14 23:15:14

최남호 2차관, 정유 4개사 등과 긴급 상황점검 회의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주말인 14일 정유 4사 등 관계기업·기관과 국내 석유·가스 수급 현황과 국제유가 영향 점검에 나섰다.

최남호(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이 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열린 석유·가스 수급상황 긴급 점검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석유·가스 수급상황 긴급 점검회의를 열었다.

홍해 지역에선 예멘 후티 반군의 활동으로 물류 차질 우려가 커진데다 최근 미국·영국 연합군은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에 대응해 공습을 개시하면서 불안을 키우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동에서 국내 원유 수요의 72%를 공급받는 만큼 홍해 지역의 물류 차질은 곧 국내 원유 수급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직접 물류 차질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에너지 수급 부담 심화 가능성이 있다. 국제유가(이하 두바이유 기준)는 아직 배럴당 70달러대 후반이지만 현지 정세에 따라 다시 치솟을 수 있다. 국제유가는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배럴당 120달러를 넘어서며 국내에서 전기·가스요금이 치솟고 한국전력(015760)공사와 한국가스공사(036460)가 역대 최대 재무 위기에 빠진 바 있다. 이 여파는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산업부는 이날 한국석유공사 및 가스공사와 국내 석유·가스 비축 현황을 확인하고 비상대응 매뉴얼을 점검했다. 또 민간 정유 4사에도 유가 상승에 따라 국민 부담이 커지지 않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 차관은 “중동은 국내 에너지 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매우 큰 지역”이라며 “최근 중동 정세가 국민 일상에 지장이 없도록 정부와 유관기관, 업계가 긴밀히 공조하고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