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회의원>앵커>연예인>재벌 대표..시민이 보는 공인

김현아 기자I 2017.09.01 10:00:11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시민들이 생각하는 공인은 누구일까.

언론이 ‘감시견(watchdog)’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공인에 대한 비판적 보도가 자유롭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인이 도대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있어왔다. 특히 연예인에 대한 보도와 관련하여 연예인이 공인인지 여부는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 미디어연구센터가 최근 성인남녀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들이 생각하는 공인은 국회의원(93.9%)>서울시장 등 지자체장(93.4%)>판사(82.0%)>방송국 앵커(80.4%) >가수·탤런트 등 연예인(76.3%)>경찰관(76.2%)>소설가·영화감독 등 문화예술인(66.1%)>재벌 및 대기업대표(63.8%) 순이었다.

전통적인 개념의 공인에 해당하는 국회의원과 지자체장 외에도 방송국 앵커, 연예인, 문화예술인에 대해서도 시민들은 공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유명 연예인의 경우 공인에 해당하는지가 사회적 논란이 되곤 하였으나, 상당수의 시민들은 이미 연예인을 공인으로 여기고 있음이 드러났다.

◇운동선수, 중고교 교장, 신문사 편집국장도 공인일수 있다

시민들이 ‘공인일 수 있다’고 응답한 8개의 직군은 운동선수(61.1%)>중고교 교장(58.9%)>국회의원 선거 출마후보자(58.3%)>신문사 편집국장(56.8%)>대학교수(56.7%)>성직자(56.2%)>기자(55.7%)>중고교 교사(52.3%)로 나타났다.

언론진흥재단은 방송사 앵커의 경우 약 80%의 응답자가 공인이라고 대답한 반면, 신문사 편집국장과 기자의 경우 공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응답자의 절반을 약간 넘는데 그쳤다며, 이는 방송국 앵커는 미디어를 통한 노출이 많으며 연예인처럼 친숙하게 느껴지는 반면, 신문사 편집국장과 일반적인 기자들은 본인이 노출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공인 인식 여부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파워블로거, 웹툰작가, 중소기업 대표 등은 공인 아냐

시민들이 공인이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은 8개의 직군은 다음과 같다.

유명 범죄·사고 유가족(93.4%)>유명 범죄·사고 피해자(86.9%)>파워 블로거(76.0%)>웹툰 작가(62.8%)>프로게이머(60.9%)>중소기업 대표(58.0%)>변호사(52.0%) 순으로 나타났다.

공인이 아닐 것 같다는 비율이 더 높기는 했지만, 프로게이머나 웹툰 작가에 대해 시민들의 37~39%가 공인이라고 응답한 것은 시대가 변하면서 공인에 대한 개념도 바뀌고 있음을 드러냈다.

◇손석희, 박태환, 이재용, 염수정은 공인

특정 유명인 여러 명을 제시하고 이들 각각에 대해 공인으로 인식하는지 여부를 알아보니, 응답한 비율이 80%가 넘는 유명인은 손석희 JTBC 사장(84.7%) - 수영선수 박태환(80.7%)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72.8%) - 염수정 추기경(72.0%) 순으로 나타났다.

공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0% 이상 70% 미만인 유명인들로는 발레리나 강수진(68.2%) - 야구감독 김성근(62.7%) - 프로게이머 임요환(59.1%) - 전원책 변호사(58.0%) - 웹툰 작가 조석(47.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게이머 임요환과 웹툰 작가 조석의 경우 연령별로 공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임요환의 경우 20대 응답자의 41.5%가 ‘확실히 공인’이라고 답한 반면, 30대는 33.5%, 40대는 29.4%, 50대는 18.8%만이 확실히 공인이라 응답했다.

공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0% 미만으로 낮은 유명인들로는 인터넷방송진행자 대도서관(37.2%) -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33.7%)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아들 노건호(32.9%) - 유승민 국회의원의 딸 유담(25.6%) - 안철수 국민의당 당대표의 딸 안설희(22.8%)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의 자녀 및 대선 기간 동안 언론에 보도되어 유명세를 탔던 대선 후보의 자녀들에 대해서도 시민들은 공인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언론진흥재단은 이러한 인물들에 대해 보도할 경우 언론은 대통령의 자녀나 대선 후보 자녀들의 사생활을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공인의 순수한 사적 영역은 보호되어야”

공적인 일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개인의 명예나 사생활 같은 인격권보다는 국민의 알 권리가 더 중요하다는 진술문에 대해서 응답자의 67.7%가 동의하였다(전적으로 동의 16.4%, 다소 동의 51.3%). 공적 인물의 경우 개인적인 권리 보호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알 권리 대상으로서 보도될 가치도 있다고 시민들이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직자나 유명인의 경우 레저나 쇼핑을 즐기는 모습 등 순수한 사적인 영역의 사진도 보도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72.2%의 응답자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조사는 성인남녀 1,0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는 설문 조사 전문업체인 ㈜마켓링크(서베이링크)의 패널에서 연령대(20~50대)와 거주 지역을 고려해 할당표집으로 모집했다. 응답률은 17.3%(이메일 발송 6,000건, 최종 응답 완료 1,041명)이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