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LG 클로이, 더 똑똑해진다…구글 AI ‘제미나이’ 첫 탑재

김응열 기자I 2024.06.27 10:00:00

LG전자,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참가
생성형 AI 접목한 LG 클로이 처음 공개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LG전자(066570)가 구글의 차세대 인공지능(AI)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한 ‘LG 클로이(CLOi)’ 로봇을 27일 처음 공개한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LG 클로이 가이드봇. (사진=LG전자)
구글과 협업…‘LG 클로이’에 생성형 AI 첫 탑재

LG전자는 이날 서울 장충동 소재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Google Cloud Summit Seoul) 2024’에 참가해 제미나이를 탑재한 클로이 로봇을 공개하고 △고객의 질문에 자연스럽게 답변하는 AI 챗봇 기능 △음성 명령으로 원하는 사진 배경 이미지 생성 등을 시연한다.

제미나이는 구글의 머신러닝(ML) 및 AI 앱 개발 플랫폼 ‘버텍스(Vertex) AI’에 탑재된 생성형 AI 모델이다. 텍스트를 비롯해 음성, 이미지, 코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령을 받는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 성능이 특징이다. 클로이 로봇에 생성형 AI를 탑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클로이 로봇은 사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문객 안내, 광고, 보안, 도슨트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다만 미리 등록하지 않은 질문에는 정확한 답변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공개한 LG 클로이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했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해, 고객과의 대화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사 질문을 스스로 생성하고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했다. 사전에 예측하지 못한 돌발 질문에도 검색 과정을 거친 자연스러운 답변이 가능해 보다 정확하게 대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에는 “운영 시간 안내해 줘”라고 질문하면 사전에 입력된 답변을 전달하는 데 그친 반면 생성형 AI 적용 클로이는 “언제까지 입장 가능해?”, “오늘 영업 중이야?” 등 유사 질문을 스스로 생성하며 다양한 형태의 질문에 답한다. 또 백화점이나 식당 등 현재 로봇을 운영 중인 공간과는 무관하게 “가장 큰 고래는 뭐야?” 같은 돌발 질문을 던져도 “가장 큰 고래는 대왕고래로 몸길이가 24~33m까지 자란다”고 자연스럽게 답변한다.

LG전자는 연내 구글의 생성형 AI를 탑재한 ‘LG 클로이 가이드봇(GuideBot)’을 출시하고, 기존 출시한 안내 로봇에도 무선 SW 업데이트로 생성형 AI 기능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LG 클로이 가이드봇. (사진=LG전자)
“미래는 AI 로봇에…연평균 25% 성장”

LG 클로이는 LG전자의 AI 비전인 ‘공감지능(AI·Affectionate Intelligence)’을 적용한 대표 제품이다. 특히 서비스 로봇은 고객과 가장 가까운 곳에 밀착해 다양한 질문이나 주변 환경을 스스로 분석하고 실시간 대처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도화된 AI 기술 역량과 노하우가 요구된다.

LG전자는 AI 로봇 시장이 커지며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AI 로봇 시장은 연평균 약 25% 성장세를 이어가 오는 2030년에는 약 643억5000만달러(약 90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아울러 LG전자는 이번 구글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AI 로봇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일찍이 로봇을 미래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공항, 호텔, 식당, 병원, 리테일 매장, 스마트 물류창고 등 다양한 공간에서 쌓아온 로봇 솔루션 데이터와 빅테크의 AI 플랫폼 기술간 시너지로 미래 사업에서 한 발 앞서가겠다는 구상이다.

최근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글로벌 AI 전문가들을 초청한 ‘북미 테크 콘퍼런스’에서 “산업 전반에 AI,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나고 있다”며 “이러한 가능성은 다양한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 온 LG전자에 또 다른 기회 영역”이라고 강조했었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은 “그간 쌓아온 고도화된 AI 로봇 기술 역량과 빅테크 기업의 AI 플랫폼 기술 시너지를 통해 미래 신사업인 로봇 분야에서 고객경험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LG 클로이 가이드봇. (사진=LG전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