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한민국 국민 15%는 고혈압…젊은 고혈압환자 ‘쑥’

이지현 기자I 2024.05.17 10:52:15

심사평가원 ‘세계 고혈압의 날’ 고혈압 진료현황
5년 전과 비교해 20대 27.9%↑ 30대 19.1%↑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고혈압 환자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17일 ‘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최근 5년간(2019~2023년) 고혈압 진료현황을 점검한 결과 지난해 고혈압 환자 수는 746만6596명으로 전체 인구의 14.55%나 됐다. 연평균 3.4%씩 증가했고 4년 전과 비교하면 14.1%나 늘었다.

1인당 진료비는 17만5816원으로 총 진료비는 1조3127억원에 이르렀다. 해마다 5.4%씩 늘어 5년만에 23.5%나 증가한 것이다.

최근 5년(2019~2023년) 성별 고혈압 환자 수(단위=명)
성별로는 여성이 5년간 11.9%(연평균 2.9%) 늘 때 남성이 16.3%(연평균 3.8%)나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80대 이상 41.23%(97만314명) △70대 39.94%(158만 4145명) △60대 31.39%(239만 5284명) 순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최근 5년간 20대에서 40대 사이의 환자비율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대는 4만2511명으로 5년 전과 비교해 27.9%나 늘었다. 30대(21만7410명)도 같은 기간 19.1%, 40대(85만2421명)도 14.6%나 늘었다.

고혈압 다빈도 동반질병을 보면,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42.1%(314만2418명)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2형 당뇨병 11.6%(86만7225명) △위-식도역류병 3.7%(27만8393명) 등이 이었다.

최근 5년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수는 2019년 21만3244명 대비 2023년 19만8721명으로 6.8%(연평균 1.7%) 감소한 반면,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수는 2019년 51만3452명 대비 2023년 54만8033명으로 6.7%(연평균 1.6%) 증가했다.

함명일 심사평가정책연구소장은 “최근 5년간 고혈압 진료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환자는 50대 이상이지만 20~40대 환자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 연령대에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고혈압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